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中企 신용위험 커진다

한은 '금융기관 대출 서베이'…3분기 지수 전망치 크게 올라

가계와 기업의 신용위험이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이 국내 16개 은행의 여신업무 총괄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해 7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3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25로 전 분기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04년 1ㆍ4분기(29) 이후로 4년여 만에 최고치다. 신용위험 전망지수가 플러스면 신용위험이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마이너스이면 낮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계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4ㆍ4분기 9에서 올해 1ㆍ4분기 13으로 높아진 뒤 2ㆍ4분기에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은 물가불안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대출금리 인상, 고용부진 등으로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할 것으로 우려하는 은행들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3ㆍ4분기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 역시 2ㆍ4분기보다 10포인트 높은 44로 2003년 3ㆍ4분기(50)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4ㆍ4분기 17에서 지난 1ㆍ4분기 26으로 높아졌다가 2ㆍ4분기에는 24로 소폭 낮아졌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가계 등을 모두 합친 종합 신용위험 전망지수는 34로 2ㆍ4분기에 비해 10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증가폭에서는 가계 부문의 신용위험지수가 컸고 절대적인 수치에서는 여전히 중소기업 부문의 신용위험도가 높은 상태”라고 말했다. 또 은행들은 중기 및 가계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대출 문턱은 소폭 낮추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가계의 주택 부문 대출태도지수는 -6에서 3으로 플러스 전환했고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도 -3에서 0으로 중립 수준을 나타냈다.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2ㆍ4분기 -22에서 3ㆍ4분기 -19로 다소 완화됐다. 가계대출은 주택 부문의 규제완화 기대감 등으로 조금 늘어나고 기업대출의 경우 그 정도는 소폭 완화하겠지만 경제여건 악화, 순이자마진 하락 때문에 신중한 대출태도가 이어질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홍준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