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연봉 1억넘는 귀족노조 파업 너무해!"

아시아나 조종사 파업강행에 "대화로 풀라" 비난 여론 거세

"연봉 1억넘는 귀족노조 파업 너무해!" 아시아나 항공 조종사 파업강행에 "대화로 풀라" 비난 여론 거세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가 단체협상 교섭 결렬로 6일 오전 1시부터 `24시간 시한부 파업'에 들어가면서 `항공대란'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반 근로자에 비해 높은 임금을 받고 고용도 비교적 안정된 조종사들이 승객의 불편을 담보로 내걸고 파업을 벌이는 데 대해 `대화를 통해 합리적으로 문제를 풀라'는 여론이 비등하다. ◇단체교섭 `난항'…쟁점은 뭔가 조종사 노조가 안전 운항이나 생존권 확보와는 거리가 먼 복지조건 향상 문제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여론의 질타가 쏟아지면서 노조는 일부 조항을 철회하고 대체 조항을 제시했다. 아시아나 조종사들은 당초 △해외출장지 호텔에 골프채 4세트 비치 △조합 탈퇴자는 해고 △여성조종사 임신휴직시 2년간 임금 100% 보장 △해외 체류중인 조종사 가족에 연간 왕복항공권 14장 제공 등을 요구했다가 여론의 지탄을 받자 철회하거나대체 조항을 제시했다. 그러나 조종사 노조가 제시했던 138개 요구사항 중 합의가 안된 항목이 아직 90여개에 이르고 있어 단체교섭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회사측은 노조의 일부 조항 철회에도 불구, 회사의 인사ㆍ경영권을 침해하는 불합리한 조항들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측은 △노조가 적정인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면 회사가 부족인원 1명당 1천만원을 매달 노조기금으로 적립 △현 외국인 조종사 감원 및 향후 외국인 조종사 채용시 노조와 합의 △장기근속자 퇴직금 누진제 등 인사ㆍ경영권을 침해하는 조항이 적지 않다는 주장이다. ◇`귀족노조의 투정' 비난 여론 급등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 온라인 공간에서는 조종사 노조의 집단행동을 비난하는 여론이 급등하고 있다. `magnetc'이라는 아이디(ID)의 네티즌은 "연봉 1억이 넘는 `가진자'인 조종사들이 해도 너무한다. 소년소녀 가장들의 배고픔을 아느냐"고 질타했다. 네티즌 `walkhard'도 "다들 힘든 시기에 조금만 참으라. (파업은) 집단이기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arahan2'라는 네티즌은 "자기들의 밥그릇을 (챙기기) 위해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끼치는 귀족 노조"라고 비난했다. 이밖에 네이버와 다음, 야후 등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는 조종사 노조의 집단행동에 대해 `명분없는 파업을 그만 두라', `승객을 위한 파업인지 자신들을 위한 파업인지 모르겠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국내 조종사(기장ㆍ부기장)들의 처우와 복지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대한항공 조종사는 7천500만원∼1억7천만원,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는 8천500만원∼최대 1억9천만원의 연봉을 받고 있다. ◇`파업 지속' 가능성 있나 아시아나 조종사 노조는 이날 오전 10시 인천공항부근 연수원에서 쟁의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파업 지속 등 향후 투쟁방향을 논의한다. 파업을 계속할 경우 운항편수가 20∼30% 이상 감소해 파행운행에 따른 성수기 `항공대란'이 우려되는 만큼 쉽게 파업지속 결정을 내리기는 힘들 전망이다. 양 항공사가 사상 초유의 동시 파업을 벌인 2001년 6월의 경우 6일간 파업이 계속되면서 항공기 운항이 전면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기간 대한항공은 평소에 비해 국제선이 56.2%만 운행되고 국내선이 11%만 운행돼 395억여원의 손실을 입었으며 아시아나도 102억여원의 손실을 입었다. 당시에는 처음부터 전면 운항중단이라는 `초강수'를 선택,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대외신인도 하락을 가져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공항 관계자는 "시한부 파업은 사측을 압박하는 `위력 시위'로 보이지만 2∼3일만 계속돼도 항공편수가 30% 이상 급감해 큰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기자 입력시간 : 2005/07/06 09:42 • 아시아나 조종사 끝내 '파업'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