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1월 18일] 중국의 추가 긴축정책에 대비할 때

중국이 조만간 추가 금리인상을 비롯해 긴축정책을 강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국증시는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된 지난 1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하루 사이 5.2%나 급락해 3,000선이 붕괴됐으며 이후 나흘간 10% 가까이 떨어졌다. 중국증시 급락세는 아일랜드발 유럽 재정위기와 겹치면서 유럽증시에 이어 뉴욕증시에도 타격을 줬다. 세계 최대 자원소비국인 중국이 긴축을 강화할 경우 글로벌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원자재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추가 금리인상은 시기만 남겨두고 있을 뿐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16일 발표한 성명에서 과도한 물가상승세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들의 초안을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인민은행 총재는 "중국이 인플레이션과 유동성 유입에 따른 압력을 받고 있으며 정부는 유동성 통제와 적절한 수준의 신용대출ㆍ통화공급 등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중국증권보는 추가 인상시기를 19일께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의 금리인상 등 긴축은 고성장에 따른 부동산 과열 등 후유증을 치유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올 들어 경제안정화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고성장이 계속되는데다 과잉 유동성으로 부동산 투기, 물가불안 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연착륙을 위한 중국의 긴축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중국의 긴축기조로 세계 금융시장과 상품시장은 물론 우리 경제도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중국이 지준율과 금리를 올릴 때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몰고 왔다. 지금까지는 영향이 단기에 그쳤지만 긴축기조가 지속될 경우 충격도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시장에 대한 수출 비중이 25%에 이르는 우리로서는 중국의 내수위축에 따른 수출감소에도 대비해야 한다.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과 함께 중국 내수시장을 직접 공략하기 위한 현지진출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경제정책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 노력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