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대통령 "공무원은 공공의 적이 아니다"

노대통령, 이당선인 공직사회 비판에 반박<br>靑비서실 직원초청 행사서… 정부조직개편안 또 비판

노무현 대통령은 24일 “공무원 전체를 개혁의 대상으로, 또 공공의 적으로 삼아서 자존심을 상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 비서실 소속 전ㆍ현직 직원 700여명을 초청, ‘홈커밍데이’ 행사를 가진 자리에서 “우리나라 공무원은 세계에서 따라 배우려고 하는 모범적인 조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지난 22일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공직자에 대해 “이 시대 약간 걸림돌이 될 정도의 위험수위에 온 것 같다” “공직사회가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변하지 않은 곳도 있는 것 같다"며 공직자의 열린 마음과 자기희생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판한 대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공무원 정원 감축 방침에 대해서도 “국민의 정부 시절 공무원 수를 줄였는데 준 만큼 행정부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어 참여정부에서 이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며 “7,000명 감축을 말하는데 비정규직이 늘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고 다른 참석자가 전했다. 그러면서 “작고 효율적인 정부는 한물 간 이론”이라며 “다보스 포럼에서도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말하는 게 아니라 정 반대되는 얘기를 한다더라”고 했다. 노 대통령은 참여정부 기간 과학기술혁신본부ㆍ여성가족부ㆍ방위사업청 등을 신설한 예를 들면서 “참여정부도 정부조직을 개편했지만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에 걸쳐 실무적인 준비와 충분한 국회 논의를 거쳐 여야 합의로 처리했다”며 인수위의 정부조직 개편안의 내용과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만들어온 정부조직을 불과 한 달 만에 거꾸로 가는 개편을 해서 나한테 도장을 찍으라고 하는데 나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을 나 스스로 해야 하느냐”고 성토했다. 하지만 개편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노 대통령은 대통합민주신당에 대해서도 “신당이 사과와 반성만 하고 있다. 반성만 하는데 누가 표를 주겠느냐”며 “자부심을 갖고 당당하게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