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흥진의 할리우드 통신] '反부시' 부르는 저항의 노래들

마돈나등 이라크戰 비판 잇달아<br>닐영 '대통령 탄핵하자' 앨범도

닐영

3년 전 텍사스 출신의 인기 여성 3인조 컨트리밴드 '딕시 칙스'의 런던 공연 당시 리드 싱어 나탈리 메인스가 "미국 대통령이 텍사스에서 나왔다는 것이 수치스럽다"고 말해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후 '딕시 칙스'는 살해 위협까지 받았고 미국의 컨트리 뮤직 라디오 방송국들은 이들의 노래를 보이콧했었는데 3인조는 최근에 와서야 새 앨범을 내고 미 순회공연을 하는 등 재기의 기지개를 펴고 있다. '딕시 칙스'의 새 싱글 제목은 '아직 얌전할 준비가 되지 않았어'. 이들의 반(反) 부시 발언의 후유증을 찍은 기록영화 '딕시 칙스: 입 닥치고 노래나 해'가 올 가을 미 중간선거에 맞춰 미 전국서 개봉될 예정이다. 체제의 권력 남용과 불의에 대해 항의하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는 가수들을 저항가수라 부르는데 '딕스 칙스'도 이 계열에 속한다. 미국에서 반 체제 노래들은 60년대 붐을 이뤘었다. 민중 가수 밥 딜란의 '블로인 인 더 윈드'와 피트 시거의 '웨어 해브 올 더 플라워즈 곤'이 그 대표적 노래들이다. 이들 노래들은 베트남 전쟁과 체제에 반대하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요즘 불려지는 저항의 노래들은 부시 대통령에 타깃이 집중되고 있다. 이들 노래들은 이라크전에 반대하는 내용들로 부시와 백악관 참모, 일부 각료들을 싸잡아 비판하고 있다. 얼마 전 마돈나는 남캘리포니아의 코아첼라에서 열린 음악축제에서 자기 노래 '아이 러브 뉴욕'의 가사를 바꿔 부시에게 욕설 수준의 노래를 해댔고 에미넴은 자신의 최신 싱글에서 "그(부시)에게 AK-47을 메어 보내 자신의 전쟁을 싸우게 하라"고 말했다. 이들 외에도 펄 잼, 폴 사이몬, 멀 해가드,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 많은 일류 가수들이 국민 60%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라크로부터의 철군은 절대로 없다"며 박박 우기는 부시를 대놓고 공격하고 있다.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요즘 이곳서 화제가 되고 있는 반부시 반이라크전 앨범은 캐나다 태생 포크 록가수이자 작곡가인 닐 영이 노래한 '전쟁과 함께 살며'(Living with War)다. 영은 가수생활 40여년간을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고 환경보호를 옹호해 온 가수로 반베트남전 시위 때 주방위군의 총에 맞아 죽은 켄트 주립대학생을 추모하는 '오하이오'라는 노래를 지어 부르기도 했다. 영의 CD는 첫 곡 '정원이 없어진 후'에서부터 100명의 합창단이 영을 백업하는 '아메리카 더 뷰티플'까지 10곡으로 짜여졌는데 이 중에서 제일 재미있고 흥겨운 노래는 부시를 사납게 공격한 '대통령을 탄핵하자'(Let's Impeach the President)다. 짧은 나팔소리와 함께 급박한 기타 반주에 이어 영은 이렇게 노래한다. "우리가 그에게 준 모든 권력을 남용하고 우리의 돈을 모두 문 밖으로 송출한 대통령을 탄핵하자 자기 집안에 있는 시민들을 염탐하고 우리의 컴퓨터와 전화를 도청하면서 국가의 모든 법을 어긴 대통령을 탄핵하자 우리의 종교를 하이재킹해 대통령에 당선되는데 쓰고 우리의 나라를 색깔로 갈라놓았으며 흑인들을 방치해 버린 대통령을 탄핵하자." 노래 중간에 부시의 연설하는 음성이 나오는데 이때 영은 "플립 플랍"하며 부시의 말 뒤집기를 조소하고 있다. 노래 가사는 매우 진지하고 가차 없는데도 멜로디가 친근하고 비트가 흥겨운 펄로 발장단이 쳐진다. 그는 이 앨범에서 미국인들의 빗나간 애국정신과 소비문화 그리고 근본주의적인 종교적 열광을 거침없이 비판하고 있다. 이 노래가 나오자 "캐나다 시민이 무슨 반부시 노래냐"는 반박이 나왔었다. 이에 대해 영은 "나는 나를 지구시민으로 먼저 생각하고 그 다음 캐나다인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