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 비자금' 의혹 파문] 법조·재경부·국세청 반응

검찰 "떡값 리스트 실제로 있나" 당혹감<br>재경부 "국민 오해 불러올수 있어 유감"

삼성 비리 의혹을 폭로한 당사자인 김용철 변호사가 5일 공개 기자회견에서 ‘최고위층에 떡값 검사가 있다’고 공개하자 검찰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상명 검찰 총장도 ‘떡값 검사’ 발언이 미치는 파장을 고려한 듯 언론과의 접촉을 자제하고 있다. 대검의 한 관계자는 “정 총장이 결재를 받느라 5분의 시간도 없다”며 기자들과의 면담을 정중히 거절하기도 했다. 일부 검사들은 식사 중간중간 농담 삼아 “삼성 장학생이 누구냐”는 말을 주고받았지만 관련 언급은 피했고 “실체가 없는 게 아니냐”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검사들도 있었다. 법원ㆍ검찰 등에서는 떡값 리스트와 관련, 내부적인 감사 작업에 착수한 움직임도 보인다. 대법원의 한 관계자는 “만약 오늘 공개됐다면 사실확인 작업이 시작됐을 것”이라며 법원 차원에서 리스트 공개에 대비한 준비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상당수 검ㆍ판사들은 여전히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검의 한 검사는 “구체적인 물증 없이 의혹만 제기돼 검찰 이미지가 또 한번 추락하게 됐다”고 불쾌감을 드러냈고 다른 검사는 “의혹만 제기하지 말고 실제 리스트를 공개하라”며 압박했다. 검찰과 법원 내부의 동요는 당분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이날 삼성의 전방위적 떡값 로비가 국세청ㆍ재정경제부ㆍ국정원에까지 뻗쳤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관련 기관들도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재경부는 “경제정책의 총괄 부서로서 개별 기업과 직접 이해관계가 있는 정책을 수립ㆍ집행하지 않는다”며 “김 변호사의 근거 없는 주장은 재경부에 대한 국민의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경수 국세청 정책홍보담당관도 “구체적 근거 없이 주장한 것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논평할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