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 "對北압박 사태해결 도움 안된다"

美 강경파에 분명한 메시지

노무현 대통령의 핀란드 ‘북핵 및 대포동 미사일’발언이 새삼 주목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지난 7일 밤 타르야 할로넨 핀란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포동 실험은 무력 공격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 의해 발사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핵실험설에 대해서도 “아무런 징후를 발견하지 못해 근거 없는 가정을 가지고 이야기 하면 여러 사람이 불안해 하고 남북관계를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대포동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인식은 사실 새로울 것이 없다. 청와대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인 7월9일 북한의 실험 미사일이 “"어느 누구를 겨냥한 것도 아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북한의 핵실험설에 대해 “아무런 징후가 없다”는 발언 역시 기존의 외교ㆍ안보 당국의 인식과 다를 바 없다. 다만 노 대통령이 이 같은 인식을 육성으로 직접 표명한 것은 북한 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이번이 처음이고 그것도 기자회견장이라는 공개적인 자리에서 나왔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물론 이날 발언이 핀란드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나온 것이긴 하나 오는 14일 한ㆍ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이라는 점에서 다분히 의도된 메시지가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특히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에 대해 “미국까지 가기에는 너무 초라한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미국안보에 대한 도전으로 보는 미국 내 대북 강경파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되고 있다. 다시 말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문제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대북 압박수위를 높이려는 미국의 움직임은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잘못된 판단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분석이다. 노 대통령이 “무력적 위협으로 보는 언론이 문제를 어렵게 한다”는 발언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국제 사회의 여론을 되돌리고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모색이 최선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여기서 언급된 언론은 국내 매체보다는 외신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오는 10일부터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취재차 몰려온 외신을 향해 북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해 보다 신중하고 중립적인 보도 태도를 견지해달라는 주문이다. 노 대통령이 ASEM개막식 연설에서 북한문제에 대해 어떤 메시지를 국제 사회에 던질 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