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졸자 대기업 취업률 상위 10개학과 공학계열이 8개 휩쓸어

한국고용연구원 조사

대졸자 대기업 취업률 상위 10개학과 공학계열이 8개 휩쓸어 한국고용연구원 조사 성행경 기자 saint@sed.co.kr 4년제 공대 졸업자 10명 중 4명은 대기업(근로자 300인 이상)에 근무하고, 대기업 취업률 상위 10개 학과 중 8개가 공학계열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권재철)은 26일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 현황과 학과별 직업 진출 분야 등을 정리한 ‘대졸자 취업정보’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의약계열이 87.6%로 가장 높았고, 예체능계열(82.5%)과 사회계열(79.4%)이 뒤를 이었으며, 자연계열(68.1%)이 가장 낮았다. 평균 취업률은 77%였다. 공학계열의 취업률(77.8%)은 평균에 가까웠으나 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한 비율은 39.7%로 4년제 대학 전체 평균(27.5%)은 물론 사회계열(27.7%)과 인문계열(21.1%)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공학계열은 대기업 취업률 상위 10개 학과 중 8개를 휩쓸었다. 이 중 기계공학(55.5%), 전자공학(54%), 산업공학(53.5%), 화학공학(51.7%) 출신은 절반 이상이 대기업에 취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 취업률 1ㆍ2위는 간호학과(66.9%)와 의학과(64.3%)가 차지했다. 전문대 졸업자의 경우에도 대기업 취업비율 상위 20위권에 제어계측(35.8%), 산업공학(34.6%) 등 공학계열 학과 12개가 포함돼 공대 졸업자의 인기를 실감하게 했다. 월 평균 소득에서도 4년제 공대 졸업자는 200만9,000원을 받아 207만8,000원의 의약계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자연계열(158만1,000원)과 예체능계열(139만3,000원)은 평균소득(178만9,000원)을 밑돌았다. 예체능계열은 취업률은 높았으나 상용직과 하루 종일 일하는 일반직장, 정규직 일반근로 비율이 낮아 근로조건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고용정보원이 2004년 8월 및 2005년 2월 전문대 이상 졸업자 중 2만6,544명을 대상으로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천영민 부연구위원은 “특정 학과 졸업자들이 어느 정도의 임금을 받고 어떤 직업에 진출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대학 학과 선택에서 중요한 정보 중 하나”라며 “이를 통해 학교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치밀한 진로ㆍ취업지도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