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리뷰] 연극 '사회의 기둥들'

서서히 기울어지는 무대… '중심' 무너진 위기의 사회 말하다


무대는 2시간 동안 조금씩 옆으로 기운다. 마치 침몰하는 배처럼. 서서히 경사를 키우던 무대는 어느 순간 배우들의 중심을 무너뜨리고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중심을 지켜줄 기둥의 부재를, 그리고 위태로운 작금의 현실을 말이다.

지난 19일 개막한 연극 '사회의 기둥들'은 1877년 노르웨이의 극작가 헨릭 입센이 쓴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국내 초연작이다. 130여년전 작품이지만 마치 최근 발표된 것인 양 '바로 지금 우리의 현실'을 소름 끼칠 만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노르웨이 소도시의 영주이자 선박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베르니크(박지일)는 높은 도덕성으로 시민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 '사회의 기둥' 같은 존재지만 사실은 거짓과 위선으로 명예를 유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의 비밀을 아는 처남 요한(이석준)과 옛 연인 로나(우현주)가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베르니크는 전전긍긍하고, 요한을 떠나 보낼 생각에 수리도 제대로 안 된 배를 무리하게 출항시키려 한다.

관련기사



작품의 백미는 뭐니뭐니해도 '연기하는 무대'다. 하얀 액자 같은 무대는 극을 끌어가는 주연 배우로서 제 몫을 톡톡히 한다. 겉으론 도덕적이고 평화로워 보이는, 액자 속 그림 같은 베르니크의 거실은 그의 비밀이 한 꺼풀씩 벗겨질수록 한쪽으로 기울며 불편한 상태로 변해간다. 바닥이 점점 기울지만, 작품 속 배우들은 위태로운 현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상황은 무대 밖에서도 마찬가지. 기울기는 이야기가 전개되는 동안 서서히 커지기 때문에 관객들은 비교적 오랜 시간 바닥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는 착시를 경험한다. 결국, 가식의 가면을 쓴 베르니크를 사회의 기둥으로 치켜세우는 시민들은 위기와 거짓에 둔감한 우리 모두의 자화상이다. 연극이 아닌 뉴스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들어맞는 '현실과의 싱크로율'에 절로 감탄이 터진다. '바다 위에 떠서는 안 될 배'를 개인의 목적을 위해 출항시키는 장면에선 굳이 지난 4월의 참사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객석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한다.

예상 밖(?) 결말엔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이야기 전반의 완급조절은 안정적이다. 연기파 배우들의 열연 속에 등장하는 깨알 같은 유머는 작품을 지배하는 무거운 공기를 적당히 환기해준다.

결말을 떠나 한쪽으로 한껏 기운 무대는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지 않는다. 씁쓸하지만 그게 현실이라고 말하는 듯. 30일까지 LG아트센터.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