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주에 공공하수처리장 9곳 신·증설

내년까지 1,506억 투입

팔당상수원보호법으로 각종 건설 사업이 제한돼온 경기도 광주시에 대규모 하수처리시설이 속속 들어서며 지역 개발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광주시는 "오는 2012년까지 1,506억원을 들여 공공하수처리장 9개를 신·증설해 하루 3만1,660t의 하수를 추가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광주2·영동·방도·곤지암2·수청 등 5개 하수처리장이 신설되며 광동·검복·엄미·오포 등 4개 하수처리장은 증설된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기존 하수 처리량 11만4,970t을 합쳐 모두 14만6,630t의 하수처리량을 갖추게 된다. 하수처리량이 늘어나면서 이에 비례해 지역 개발도 가능해진다. 하수처리장 신증설에 따라 39곳의 그린벨트 지역에서 주택 등의 소규모 택지 개발이 가능해지며, 800㎡의 일반건축물과 400㎡ 이상의 식품접객업소도 개발부하량 범위 내에서 신축할 수 있다. 또 이미 지역 내에 계획된 72개 택지개발 사업도 하수처리용량 증가로 탄력을 받게 된다. 광주2처리장(오포읍 양벌리 일원 1만7,866㎡)의 경우 1일 2만t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조억동 광주시장은 "이번 계획을 통해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농산물 유통시설, 의료시설 등의 확충과 함께 교육시설, 공공시설 신축으로 주민들의 복지혜택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