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들은 한국토지공사가 지난 1일 택지지구 내 아파트의 분양가 부풀리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주택건설 현실을 무시한 것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건설업체들은 2일 토공이 지난해 불거진 ‘땅장사’ 논란의 책임을 민간 건설업체에 떠넘기기 위해 언론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의혹이 민간 건설업체들의 분양원가 공개 논란으로 확대될 것을 우려했다. 특히 아파트 분양을 앞두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분양승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분양가 인하압력이 거세져 분양에 차질이 빚어지거나 분양실적이 저조하게 나타나지나 않을까 긴장하는 분위기다.
대형 건설업체의 한 임원은 “토지공급가격과 분양가를 단순 비교해 건설업체들이 마치 분양가를 터무니없이 부풀린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현실을 너무 모르고 하는 말”이라며 “아파트 분양가를 산정할 때는 택지비 외에 금융비용, 마케팅비용, 모델하우스 건축비, 인ㆍ허가비용 등 고려할 사항이 많다”고 밝혔다.
건설업체들이 분양원가를 반영하지 않고 주변 시세에 맞춰 어림잡아 아파트 분양가를 책정한다는 토공의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건설업체들은 수도권 택지지구 내 땅값이 아파트 분양가의 29%라고 발표한 내용은 일단 받아들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순수 공사비만 분양가의 50~60% 이상 들어가기 때문에 마진 10%를 내기도 빠듯하다는 게 건설업체들의 주장이다.
건설업체들은 오래 전부터 수도권 택지지구 내 택지비가 30%선이었기 때문에 토공의 발표는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특히 토지 수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토공 등이 개발한 택지지구와는 달리 개발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드는 일반 주택건설 용지의 땅값도 분양가의 35% 정도인 점에 비춰보면 토공이 공급하는 땅값이 결코 턱없이 싸다고만 할 수 없다고 건설업체들은 강조했다.
땅값이 비슷한데도 아파트 분양가가 평당 최고 200만원씩 차이 나는 것에 대해서도 건설업체들은 할 말이 많다. 그들은 같은 택지지구라도 블록별로 용적률 차이가 크고 업체마다 마감재나 조경ㆍ평면설계, 단지 구성 등이 달라 분양가가 천차만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견 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분양가 차이에 민감한 상황에서 아파트 분양가도 철저히 시장논리에 따라 움직인다”며 “미분양을 감수하면서까지 주먹구구식으로 고분양가를 산정하는 건설업체들이 어디 있느냐”고 토공 측에 불만을 털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