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ISTI의 과학향기] 운동선수와 약물

스테로이드 이어 성장호르몬등 유행<br>장기복용땐 심혈관 부담 "생명 위협"


지난 8월 7일 미국 메이저리그의 역사를 새로 쓰는 사건이 벌어졌다. 배리 본즈가 행크 아론이 세운 통산홈런기록 755개를 깨고 756번째 홈런을 친 것이다. 하지만 언론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그의 홈런이 스테로이드를 복용해 만든 '약물 홈런'이라는 의심 때문이었다. 지난 88 서울올림픽에서 캐나다 육상선수 벤 존슨이 약물복용(도핑ㆍDoping)으로 금메달을 박탈당한 사건 이후 이처럼 운동선수의 약물 복용 사건은 잊을 만하면 한번 씩 등장하고 있다. 현재 운동선수들이 가장 많이 쓰는 약물은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남성호르몬과 비슷한 유사체로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근육을 빨리 만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운동선수와 보디빌더들이 단기간 몸을 만들기 위해 복용한다. 근육을 늘리는 효과 외에도 에너지 대사 속도를 높여서 단시간에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게 해준다. 또 적혈구 숫자를 늘려서 산소를 더 많이 쓸 수 있게 해 결과적으로 운동 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분자 구조를 조금 바꾼 '디자이너 스테로이드'도 있다. 배리 본즈가 복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약물은 '테트라 하이드로 게스트리논'이라는 디자이너 스테로이드로 알려져 있다. 간단히 말해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와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구조를 바꿔 도핑 검사에 잘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혈압강하제'도 특정 운동선수에게는 큰 도움을 준다. 말 그대로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손 떨림을 줄여주기 때문에 사격, 양궁 같은 경기에서 매우 유리해진다. 최근 유행하는 약물은 '에리스로포이에틴'과 '성장호르몬'이다.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적혈구 생성을 촉진시키고, 성장호르몬은 근육을 자라게 하는데 도움을 줘 스테로이드의 대체 약물로 쓰인다. 이들 약물은 원래 인체에서 극소량 분비되는 호르몬인데다가 1시간만 지나면 분해돼 도핑 검사로도 찾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유전자 조작'이 새로운 도핑이 될 가능성도 있다. 예컨대 근육을 만드는 유전자를 세포에 주입해 근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식이다. 이쯤 되면 '스포츠 정신'이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반대로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의 경우 장기간 복용하면 심혈관계에 무리를 줘 심할 경우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다. 운동선수가 만들어 낸 신기록이 아름답고 감동적인 이유는 그 숫자가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오랜 땀방울 때문이 아닐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