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어떤 영역서 표준점수 유ㆍ불리 있나

표준점수의 유.불리 논란은 당연히 선택과목에서생길 수 밖에 없다. 언어, 외국어 등 대부분의 수험생이 공통적으로 응시하는 영역은 원점수가 높으면 표준점수도 높아 상대적 박탈감이 없지만 수리나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선택과목에 따라 같은 과목을 치른 수험생간에는 원점수 순위가 표준점수로는 뒤바뀌지 않음에도 다른 과목을 고른 수험생과 비교하면 표준점수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 물론 대부분 대학이 영역간 표준점수를 단순 합산하기 때문에 선택과목의 유.불리를 제외하고도 상대적으로 까다로웠던 외국어나 수리영역 등이 1차로 합.불합격에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지사. 표준점수는 어려운 과목에서 원점수로 높은 성적을 받았을 때 상대적으로 더 올라가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쉬워 평균성적이 높거나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 많이 고른 과목에서는 높은 표준점수를 얻을 수 없고, 반대로 대부분 수험생이 어려워 하거나 그과목에 자신이 없는 수험생이 몰려 평균성적을 끌어내릴 경우에는 조금만 높은 원점수를 얻어도 표준점수가 껑충 뛸 수 있다. ◆탐구.제2외국어는 쉽고 재수생 몰린 과목 불리 = 이번 수능에서도 사회/과학탐구의 경우 윤리, 한국지리, 생물Ⅰ 등의 원점수 만점이 표준점수로 모두 낮게 나타났고 수험생이 어려워 선택을 기피하는 법과사회, 경제, 지리 등의 표준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남명호 수능연구관리처장은 "6월과 9월 모의평가를 토대로 본수능 난이도를 조정했는데 모의평가에 응시하지 않았던 고득점 재수생이 본수능에 대거 응시한데다 6차 교육과정에서 필수 선택과목이었던 윤리, 국사, 한국지리에 몰렸다"고 설명했다.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이례적으로 `100점'이 나온 아랍어에 대해서도 남 처장은"모의평가 때 응시자가 거의 없어 예측 곤란했는데, 실제 응시자 가운데 중동지역에서 살다온 학생이 있는가 하면 아랍어를 전혀 모르는 학생도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생물Ⅰ에서 2등급이 전혀 없는 것은 3점짜리 1문항이 까다로워 만점자와 2점짜리 1문항을 틀린 수험생이 1등급으로 묶이다 보니 3점짜리를 틀린 수험생은3등급에 들었다"고 강조했다. 남 처장은 "대부분 3~4과목을 선택하고 수험생 나름대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때문에 점수를 합산하면 격차가 상당히 줄어드는데다 전체 반영비중도 이들 4과목을 합쳐 4분의 1에 불과하다"며 "그럼에도 통계기법이나 출제방식 개선 등을 통해보완책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서남수 교육부 차관보는 "원점수 만점자의 표준점수를 같게 맞추거나 원점수 자체를 제공할 경우 `쉬운 과목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쉽다고 여겨졌던 사회문화의 경우 까다로운 문제가 1문항 출제돼 만점자가많지 않았고 원점수 만점자의 표준점수도 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표준점수 분포도 상대적으로 정상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과목내 난이도 조정이 앞으로 표준점수제의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분석된다. ◆수리는 `자신없는 수험생' 몰린 `나'형 유리 = 수리영역은 거꾸로 수학에 `체질적으로' 자신없는 수험생이 모인 `나'형이 표준점수로는 유리하다. 출제위원단이 의도적으로 `가'형을 어렵게 출제, 평균성적을 끌어올리고 `나'형은 쉽게 내 평균성적을 끌어내려 표준점수 최고점수 및 등급간 점수차를 최소화하려해 6, 9월 모의고사에 비해 폭을 상당히 줄였지만 `나'형에는 아무리 쉽게 내더라도틀릴 수 밖에 없는 `수학치' 수험생이 상당히 많이 포진해 있기 때문. 따라서 최고점수가 `가'형 141점-`나'형 150점, 1등급과 2등급 구분점수는 `가'형 131점, `나'형 140점으로 `나'형이 모두 9점 높았다. 고득점 수험생 숫자도 상당히 많은 차이가 났다. 표준점수 141점 이상은 `가'형이 482명인데 비해 `나'형은 1만4천65명에 달했고130점 이상은 `가'형 8천538명-`나'형 4만2천648명, 120점 이상은 `가'형 2만9천3명-`나'형 7만2천617명이었다. 대학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대학이 `가'형 응시자에게 가중치를 1~5% 주는 것을 감안하면 `나'형 응시자의 자연계 모집단위 지원이 불리하지 않다는 것. 남명호 처장은 "`가'형에 5~7% 가산점을 주면 대체로 비슷하고 그 이하면 `나'형이 유리하며 그 이상이면 `가'형이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특히 상위권 대학이 대부분 자연계 모집단위에서 `가'형을 지정해 반영하기 때문에 `나'형 응시자들의 지원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가'형과 `나'형 응시자가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중상위권 대학에서 교차지원이 활발하고 경쟁도 치열하며 `나'형 응시자 상당수가 합격할 것으로 입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