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辛의장 부친 일본군 헌병 오장이었다"

신동아 9월호 보도…辛의장 "일본군 복무 언젠가는 해명하려했다"

열린우리당 신기남(辛基南) 의장의 부친 신상묵(1916~1984)씨가 일본군 헌병 오장(伍長·하사)이었다고 17일 발매된 시사월간지 '신동아' 9월호가 보도했다. 신동아에 따르면 신상묵씨는 1938년 3월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전남 화순군 청풍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1940년 7월25일 일본군에 지원, 조선총독부국군병지원자훈련소에 입대했다. ‘시게미쓰 구니오(重光國雄)’로 창씨개명한 신씨는 훈련소를 수료한 직후인 같은 해 11월8일 반도호텔에서 일본군 지원병 수료생 자격으로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의 좌담회에 참석했고, 매일신보는 이 좌담회를 같은 해 11월30일부터 8회에 걸쳐 연재했다. 신동아는 신상묵씨의 이름이 들어 있는 일본군 지원병 합격자 명단, 창씨개명한 기록이 드러난 일제시대 신씨의 호적자료, 신씨의 이름 출신지역 출신학교 나이가 기록된 매일신보 좌담회 기사를 공개했다. 매일신보 보도에 따르면 신씨는 좌담회에서 “나는 반다시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절대로 복종하야 되겟다는 정신수양을 하게 되었습니다”라고 입대소감을 밝혔다. 신씨의 대구사범학교 5기 동기생인 송재천씨는 “1943년 6월 충북 옥천 죽향국민학교 교사로 재직할 때 일본군 헌병 오장 군복을 입은 신씨가 말을 타고 집으로 찾아와 ‘일본군 헌병으로 근무하고 있다. 일본군 징병 기피자들을 찾고 있는데 정보가 있으면 가르쳐달라’고 해 ‘모른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대구사범학교 동기생인 송성욱씨는 “1940년 경북 영일군 죽남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할 때 신씨가 일본군 지원병이 됐다는 신문 기사를 읽고 놀란 기억이 있다. ‘신씨는 교사 경력이 있어 일본군에 들어간 뒤 헌병이라는 좋은 보직을 받았고, 해방 직전엔 조장(상사)까지 진급해 부산에서 근무했다’는 얘기를 동창들로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대구사범학교 동문회도 동문회지에 ‘신씨가 교사에서 경찰관이 되기 전까지의 기간에 군인으로 활동했다’고 기록했다. 신상묵씨는 해방 직후인 1946년 경찰에 투신, 서남지구전투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최근 ‘신기남 열린우리당 의장 부친이 일제시대 때 교사로 있다가 경찰을 역임했으며, 해방 후 다시 경찰에 투신했다’는 의혹이 인터넷 등에서 확산되자 신 의장은 “부친은 해방 후까지 교사로 활동했으며 1946년 경찰에 투신했다”고 해명해왔다. '신상묵씨가 일제시대 경찰로 근무했다'는 글을 최초로 작성한 작가는 "신상묵씨가 일본군 헌병이었다는 증언을 들었으나 고인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경찰이라고 썼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신기남(辛基南) 의장은 16일 부친이 일제시대 일본군으로 근무했다는 신동아 보도와 관련, "선친은 일제시대 대구사범을 졸업하고 교사생활 하다 군에 입대한 것으로 들었다"며 일본군 복무사실을 시인했다. 신 의장은 이날 부산을 방문,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일제하에서 군생활을 한것이 선친으로서는 나름대로 어쩔수없는 선택이었다고 이해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목숨을 바쳐 싸운 독립투사와 유족에게는 아버님을 대신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선친의 경우도 친일진상규명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면서 "군에 있을 당시 고위직은 아니었지만 조사하겠다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선친은 광복후 경찰에 입문했고, 6.25 전쟁에 참여해 많은 전공을쌓아 태극무공훈장을 받기도 했으며, 4.19 전에 경찰에서 은퇴했다"면서 "어떤 경우에도 친일진상규명을 철저히 해야 하며, 친일잔재청산도 철저히 해야 한다는게 저의신념"이라고 덧붙였다. 신 의장은 그동안 선친의 일본 경찰 복무설이 제기됐을 당시 이를 부인한데 대해 "경찰이 좀더 정치적 역할 했기때문에 그것은 분명히 아니기에 부인했을 뿐"이라며 "군 경력은 언젠가 밝힐 기회가 있을 것 이라고 생각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우리당이 국회에 제출한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특별법 개정안에 따르면 친일행위 조사대상자 가운데 군인의 경우 소위 이상으로 규정돼 있어, 일본군 '오장'은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일부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