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연립·다세대 경매열기 후끈

감정가 웃도는 '고가낙찰 현상' 1년이상 지속

최근 수도권 연립과 다세대 주택 투자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법원 경매시장에서 낙찰가가 감정가를 웃도는 ‘고가 낙찰’ 현상이 1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법원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의 연립ㆍ다세대주택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104.34%로 지난 1월의 103.21%보다 높아졌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법원의 감정가보다 비싸게 샀다는 것으로 고가 낙찰을 의미한다. 특히 연립과 다세대 낙찰가율은 지난해 3월 108.79%를 기록한 후 103∼112% 사이를 오가며 100%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1년간 입찰 경쟁률도 7.5~9대1을 오가며 서울과 수도권 경매 평균 경쟁률인 4.7~5.8대1을 훨씬 웃돈다. 이는 연립과 다세대가 아파트보다 저렴해 소액투자가 가능한데다 뉴타운 등 각종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경매업체의 한 관계자는 “뉴타운 등 개발 재료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고가 낙찰이 계속되고 첫 회 입찰 물건에도 투자수요가 몰려드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최근 대선 이후 일반 거래시장의 매물이 품귀현상을 빚으며 경매장을 찾는 사람이 더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반면 연립과 다세대의 경매 물건 수는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4월 1,580건으로 최근 1년새 고점을 찍은 뒤 줄곧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달에는 692개로 지난해 4월 대비 56%나 감소한 것이다. 경매 전문가들은 연립과 다세대에 대한 투자자들의 과열 현상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고 있는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