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등록금 후불제' 도입 엇박자

재경부 "내년 경제운용 포함" 교육부 "예산상 어려워"

국가가 대학생들의 등록금을 선납하고 대학생이 졸업한 뒤에 이를 갚도록 하는 ‘등록금 후불제’ 도입을 놓고 경제부총리와 교육부총리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의 재경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등록금 후불제를 내년도 경제운용 항목에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 부총리는 ‘등록금 후불제를 시행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학비가 없어 좋은 교육의 기회를 놓칠 사람에게 지원한 뒤 소득이 발생한 후부터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모든 학생들에게 대출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중에 확실하게 취업해 대출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정운 재경부 인력개발과장은 “구체적인 지원대상과 지원방안 등을 결정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영국ㆍ호주 등에서는 이미 등록금 후불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경부 안에 따르면 등록금 후불제는 오는 2009년부터 로스쿨 등 취업 가능성이 높은 대학생 위주로 부분적으로 시행된 뒤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하지만 정작 담당 부서인 교육부는 예산상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신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등록금 후불제는 막대한 재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렵다는 게 교육부의 판단”이라며 “권 부총리 발언의 진의를 파악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지난 2월에도 “1년 대학등록금 총액이 12조원, 4년이면 약 50조원이 되는데 정부 재정상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