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내려달라" "안된다" 全산업계 몸살

■"고유가 부담 전가" 갈등 확산<br>유화업계 "나프타값 급등 제품가 인상 불가피"<br>화섬업계선 "내수마진율 왜 조정않나" 불만<br>수익증가 성과급 잔치 정유사엔 따가운 눈총

“이익률을 낮춰야 중소기업이 산다.” “상황악화에 대비해 투자여력을 쌓아야 한다.” 유가 인상분에 대한 떠넘기기로 업종간 마찰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유가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유화ㆍ운송업종에서 전산업계로 마찰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원재료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대부분 대기업이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중소기업 관계자들은 “겉으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을 강조하고 있지만 대기업의 속내는 제 속 채우기”라며 “유가인상을 완충지대 없이 중소기업이 모두 떠안는다면 유화업계는 물론 전체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조금만 내려라=업종간 유가급등으로 마찰이 가장 심한 곳은 유화업계와 화섬업계. 유화업계에서는 정유사들이 공급하는 나프타 가격이 연초 대비 40% 가까이 오른 상황에서 채산성 악화를 우려, 고순도테레프탈산(TPA)과 에틸렌글리콜(EG) 등 기초유분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제품 구성별로 보면 스티렌모노버(SM)ㆍ폴리염화비닐(PVC) 등 일부 품목은 수요감소로 역마진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제품 가격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유화업계에서는 실제 채산성이 악화된 SM 공정의 가동률을 10~20% 정도 낮추는 등 품목 구조조정에 들어간 상태다. 그러나 화섬업계의 입장은 다르다. 유화제품의 품목별 마진율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내수 마진율을 조금만 낮춘다면 불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섬업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석유화학 2차 가공업체들은 화섬업체보다 유가 떠넘기기에 더 큰 고통을 겪고 있다. 비닐하우스ㆍ제품포장용 플라스틱 필름을 생산하는 I사의 경우 채산성 악화에 따라 고정비용을 감당하면서 적자를 내지 않을 정도로 수주ㆍ가동률을 낮추고 상대적으로 채산성이 나은 비닐하우스용 제품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페인트업계의 한 관계자는 “나프타와 기초용제인 벤젠ㆍ톨루엔ㆍ아세톤 등이 계속 오르고 있지만 완제품 가격은 지난 3월 한 차례 10%(소비자가 기준) 올랐다”며 “그나마 건설사 납품분은 5% 정도 오르는 데 그쳤고 건축시장 침체로 매출도 극히 부진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반월공단의 플라스틱 사출업체인 N사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톤당 70만원 하던 레진 가격이 110만원 수준까지 올라 채산성을 맞추기가 힘들어 가동률을 낮췄다”며 “주문을 줄이거나 미루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난받는 정유사=불황 속에서도 유가상승으로 인한 수익증가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는 정유사들은 여타 업계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유가인상을 소비자에게 그대로 떠넘겨 정유사들이 이익을 거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소비자단체들은 정유사가 보통 3개월 전에 원유를 미리 확보해놓고도 정작 석유제품 가격 조정시에는 최근의 국제제품 가격에 따라 공장도가격을 조정해 이익을 챙긴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대로라면 유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공장도가격을 올려 정유사들은 돈을 벌게 되고 성과급 또한 소비자들의 주머니에서 나온 돈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유업계는 오해라는 입장이다. 원유수입가는 선적 당시 결정되기 때문에 싸게 사서 비싸게 팔지는 않는다는 설명이다. 다만 요즘처럼 국제유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원유 인상분이 다음달로 이월돼 장기적으로 정제마진 개선의 효과를 볼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SK㈜의 한 관계자는 “정제마진을 통해서만 좋은 실적을 올린 것이 아니다”며 “석유화학 등 사업 다각화와 중국수출 증가로 수익이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S-Oil도 정제마진보다는 수출이나 효율성이 높은 정유기술 개발이 수익증가의 이유라고 주장했다. 내수정제 마진율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정유업계에서는 “국제유가란 오르는 때도 있지만 떨어질 때도 있는 만큼 이익이 났을 때 석유개발사업ㆍ고도화설비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김현수기자 hski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