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HSBC "금융사 M&A 당분간 않을 것"

지점확대·인력확충등 통한 '자생적 성장'에 주력

릭 퍼드너(왼쪽) HSBC 한국대표와 박준규 부대표가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김동호기자


외환은행 인수에 참여할 것으로 유력시돼온 영국계 홍콩상하이은행(HSBC)은 당분간 국내 금융회사에 대한 인수ㆍ합병(M&A)을 하지 않고 지점 확대와 인력확충 등을 통한 자생적 성장에 주력할 것이라고 20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HSBC는 또 기존 보다 업그레이드된 자산관리 서비스(HSBC 프리미어)로 자산관리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는 동시에 기업금융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중소기업 고객(SME) 발굴에도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릭 퍼드너 HSBC 한국대표는 이날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M&A가 아닌 자생적 시장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라며 “당분간 한국 내 금융시장에서 M&A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HSBC 연례 이사회에서 존 본드 HSBC 그룹 회장이 한국 내 금융회사에 대한 M&A를 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퍼드너 대표는 “현재 상황에서는 M&A 대신 ‘자생적 성장’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면서도 “자생적 성장 전략을 위해 M&A라는 전술적 옵션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그는 특히 “지난 5년간 서울은행, 제일은행 등에 대한 인수를 추진해왔었지만 가격 문제로 두 은행을 포기했었다”면서 “지금은 자생적 전략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언제든지 한국시장에 상당한 규모의 투자를 할 준비는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지금 당장은 LG카드나 외환은행 인수 전에는 뛰어들지 않겠지만 가격 등 시장 상황에 따라 내부 전략을 바꿀 가능성은 언제든지 있으며, 앞으로 매물로 나올 우리금융지주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퍼드너 대표는 한국시장에서의 자생적 성장전략과 관련, “자생적 성장과 M&A는 일장일단이 있다”며 “HSBC 고유의 문화를 한국 내 영업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M&A보다는 자생적 성장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 예로 한미은행을 인수한 씨티그룹과 제일은행을 인수한 스탠다드차타드은행(SCB)이 M&A를 통해 채널(점포망)과 고객을 단숨에 확보했지만, 두 조직의 화학적ㆍ문화적 통합에 있어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들었다. HSBC는 이에 따라 당분간은 자생적 성장을 위한 자산관리, 채널 확보, 서비스 강화 등 인프라 확충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박준규 HSBC 한국 부대표는 “고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아직도 국내 은행들의 자산관리 서비스가 고객들의 요구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파이낸셜 플래닝 부문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중소기업 중심의 기업금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SBC는 이를 위해 450명의 인력을 뽑아 전체 직원을 올해 안에 1,000명 수준으로 늘리고 현재 부산과 수도권 8개의 지점 이외에서 대구, 인천, 대전 등의 지점을 낼 계획으로 당국에 인가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