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원'보다 '민족'에 초점맞춰라

■ '격화되는 자원전쟁' 한국의 선택은<br>유국 산업발전 도외시땐 개발권 꿈도 못꿔<br> '주고 받는' 한국형 방식으로 진출해야 승산


'자원'보다 '민족'에 초점맞춰라 ■ '격화되는 자원전쟁' 한국의 선택은유국 산업발전 도외시땐 개발권 꿈도 못꿔 '주고 받는' 한국형 방식으로 진출해야 승산 안의식 기자 miracle@sed.co.kr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7월 “앞으로 5년 내에 유례없는 석유위기가 오고 천연가스 시장도 10년 안에 위기에 봉착한다”고 전망했다. 전쟁 등 비상상황 때문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이 같은 위기가 온다는 것. 즉 세계 석유 소비량은 연평균 2.2%씩 증가하는 데 비해 공급량은 영국 북해 유전과 미국 멕시코만 유전의 감산속도가 빠르고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들마저 증산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서 수급 불일치 위기를 맞는다는 진단이었다. 그러나 현재 유가나 시장상황을 보면 이 같은 수급위기는 5년 뒤가 아니라 그보다 더 일찍 올 수 있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 자원 전문가들은 “지금은 지난 2004년부터 시작된 우리의 해외자원 개발붐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할 단계”라고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원민족주의를 극복하고 해외자원 개발에 성공하려면 ‘자원’이 아닌 ‘민족’에 초점을 맞추라”고 충고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다. 전문가들은 서방 석유 메이저 기업들이 최근 산유국 등 자원보유국으로부터 밀려나게 된 이유에 대해 “이들이 해당 국가의 경제발전 등 ‘민족’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자원확보’에만 집중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의 산유국. 2006년 나이지리아는 최대 해상광구를 분양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조건을 내걸었다. 첫번째가 철도 건설, 두번째가 발전소 건설이었다. 또 조선소를 건설해 해운산업도 키우고 싶다고 했다. 그러나 메이저 기업들은 이 같은 저개발 자원보유국들의 요구에 익숙하지 않았다. 아니 이를 껄끄러워했다. 자사의 수익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 빈자리를 먼저 차고 들어간 나라가 중국. 중국은 막대한 원조자금과 국가 주석이 직접 나선 자원외교를 바탕으로 2004년 이후 아프리카에서 시장에 나온 유전광구 70~80%를 휩쓸었다. 그러나 요즈음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국에 대해서도 ‘경계심’을 나타내고 있다. 한 사례가 앙골라. 중국은 앙골라에 20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하면서 유전 등 자원을 확보했다. 앙골라는 중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으면서 중국이 앙골라 산업발전과 고용증대를 위해 노력해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앙골라에 중국 기업과 함께 중국 사람 수만명이 쏟아져 들어가 큰 반발에 직면한 것. 이 같은 상황에서 정보기술(IT)ㆍ발전ㆍ조선ㆍ건설 등 우리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을 살려 자원보유국의 ‘경제발전’과 ‘고용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자원확보와 연계하는 한국형 개발방식이 갈수록 주목받고 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니켈광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광업진흥공사와 국내 민간기업 컨소시엄도 이 같은 사례에 속한다. 광진공을 대주주로 한 한국 컨소시엄이 니켈광 사업에 27.5% 지분 참여하면서 국내 업체가 석탄열병합발전소, 광산 관련 플랜트 등을 연이어 수주했다. 오동환 STX 사업개발실장은 “이제 자원확보만을 위해 자원보유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며 “해당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해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면서 진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