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작년 리콜·무상수리 車 92%는 현대·기아차

작년에 리콜이나 무상수리를 진행한 국산차 10대중 9대 이상이 현대.기아차로 집계됐다. 이는 75% 안팎인 현대.기아차의 시장 점유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정몽구 회장이 수년 전부터 강조해온 품질경영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23일 건설교통부와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작년에 자체 혹은 강제 리콜되거나 업체에서 무상수리해 준 국산차는 총 179만7천796대에 이른다. 이중 리콜은 84만2천313대이며 무상수리는 95만5천483대다. 무상수리는 리콜보다는 경미한 결함에 대해 실시된다. 업체별로 보면 기아차가 리콜 56만4천258대, 무상수리 74만8천523대 등 총 131만2천781대로 전체의 73%를 차지했다. 기아차의 시장 점유율(25%)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현대차는 리콜 14만9천732대, 무상수리 18만8천444대 등 33만8천176대였다. 현대.기아차를 통틀어서는 총 165만957대로 전체의 91.8%로 나타났다. 이어 GM대우가 리콜 8만470대, 무상수리 5천554대 등 8만6천24대, 르노삼성이리콜 3만8천93대, 무상수리 1만2천962대 등 5만1천55대, 쌍용차가 리콜 9천536대,타타대우트럭이 224대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