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봄 분양시장 내집마련 가이드] 금리 상승기 시장 전망

인상폭 제한적…급격 자금이탈 없을것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은행돈을 빌려 집을 산 투자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집값은 움직이지 않는데 당장 금리가 오르면 이자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신금리 상승으로 시중의 유동자금이 흡수될 경우 부동산시장이 위축되지 않을까 걱정은 더욱 커진다. 시중은행대출의 70~80%는 시중금리와 연동된 대출이다. 최근 양도성예금증서(CDㆍ91일물)수익률과 연동되는 대출상품의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CD수익률은 지난해 11월말 연 3.36%에서 12월말 3.43%, 지난 1월 3.57%에 이어 이달(11일 기준) 3.63%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금리와 집값이 상반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금리상승이 주택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03년‘10ㆍ29부동산안정대책’이전 주택가격은 정부정책 등 시장 외부변수보다 금리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앞으로 금리 상승 폭은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부동산시장에서 급격히 자금이탈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근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는 경기를 확실한 회복국면에 진입하도록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가 자칫 경기 위축을 불러올 급격한 금리 인상정책을 구사할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인상폭이 0.5~1%포인트 내에서 움직일 경우 투자전략을 수정할 만큼의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예컨대 1억원 대출금리가 연 5.5%에서 6%로 0.5%포인트 상승할 경우 월 이자부담액은 4만2,000원 정도에 불과해 실제 느끼는 자금부담은 큰 차이가 없다. 실제 한국은행의 가계대출통계에 따르면 CD수익률이 3.9%선을 지속한 지난해 3~6월 전월대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매월 평균 1조5,400억원에 육박했다. 활황세를 보이는 주식시장도 부동산시장 위축요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투자상품특성이 판이하게 다르고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오히려 주가가 1,000포인트에 근접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의 ‘상투’에 대한 우려로 주식투자를 꺼리는 반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부동산으로 움직일 것이란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