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본관 앞 사수 작전 '속앓이'

삼성-노비타 노조, 집회 신고 '신경전' 심화

'본관 앞을 사수하라' 노비타 노조의 삼성 본관 앞 집회를 둘러싸고 '앞마당 수성(守城)'을 위한 삼성측의 '가슴앓이'가 깊어가고 있다. 5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측과 노비타 노조는 집회 장소 선점을 둘러싸고 한달여째 '사투'에 가까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노비타 노조는 모회사인 삼성전자가 노비타를 두산 계열사 벤처캐피탈인 네오플러스 캐피탈에 매각한데 반발, 지난 5월 23일부터 태평로 삼성 본관 맞은 편인 남대문로 4가 동성빌딩 앞에서 한달 이상 매각 반대 집회를 벌여 왔다. 고용 보장 명시, 24개월 급여에 해당하는 위로금 지급 등이 노조의 요구사항. 노조측은 파급 효과 등을 감안, 당초 집회 장소로 삼성 본관의 바로 앞길을 물색했지만 삼성측이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 캠페인'을 목적으로 일출부터 일몰까지 삼성 본과 빌딩 주변 인도 앞을 대상으로 관할 남대문 경찰서에 일찌감치 집회신고를 해두면서 `앞마당 선점'에 밀려 일단 건너편에서 집회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노조측의 `본관 앞 상륙' 시도는 계속됐고 결국 노조측은 `천신만고' 끝에 오는 9일과 19∼20일, 30일 등 4일간 본관 앞에서 합법적 집회 신고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 지난 2003년 삼성그룹 해고자들이 본관 옆 삼성생명빌딩 앞에서 집회를 가진 적이 있으나 합법적 절차를 통해 집회를 여는 것은 사실상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측은 민주노총 충남지부 등과 연대, 300여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대규모집회를 벌인다는 입장이어서 삼성측은 대외적인 이미지 타격, 정상적 업무 활동 지장 등을 우려,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노비타 집회가 시작된 이후 삼성측은 본관 앞 경비를 한층 강화해 왔다. 관련법에 따르면 최초 집회 시작 후 720시간(30일)이 지나면 그 이후에는 매일매일 신고를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노비타 노조의 집회가 시작된 이후 삼성측과 노비타 노조는 매일 남대문 경찰서 민원실 앞에서 그 다음날 오전 민원실이 문열기전까지 신고 순서를 놓고 '밤샘' 신경전을 벌여왔다. 이미 삼성측이 본관 앞 집회 및 시위를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환경캠페인 신고를 일 단위로 갱신해온 터였다. 이 과정에서 양측이 밤을 새우는 경우는 다반사이고 몸싸움을 벌이거나 경찰이 중재하는 웃지못할 해프닝까지 빚어지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노비타 노조가 신고한 날짜를 제외하고는 다음달 초까지 이미 삼성측의 신고로 이미 빼곡하게 차 있는 상태다. 지난 2003년 10월 '외국공관 100m이내 집회금지' 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이후 지난해 초 외국공관 100m이내에 대해 집회 및 시위가 허용되는 쪽으로 집시법이 개정, 삼성측은 '고육지책'으로 본관 앞에서 환경캠페인을 벌여왔다. 삼성본관 양 옆 태평로 빌딩 및 삼성생명 빌딩에는 크로아티아 명예 영사관 등 외국 공관이 입주해 있다. 노비타 노조는 삼성측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본관 앞 집회 신고를 계속 시도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양측의 '힘겨루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다만 노비타 노조는 이달 들어 삼성전자측와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한 상태여서 노조측의 본관 앞 집회 전에 극적 타결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