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사회적 책임활동 대폭 강화

기업별 '사회적 책임委' 설치…부당 내부거래등 감시<br>전경련 새정부 첫 회장단 회의서 결의문 채택<br>재계총수 대거참석 '비즈니스 프렌들리' 실감


재계 사회적 책임활동 대폭 강화 기업별 '사회적 책임委' 설치…부당 내부거래등 감시전경련 새정부 첫 회장단 회의서 결의문 채택삼성 특검 관련 "수사 빨리 끝나야 경제 기여" 오철수 기자 csoh@sed.co.kr 재계가 국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사회적 책임(CSR) 이행 활동을 대폭 강화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비롯한 재계는 이를 위해 각 기업별로 'CSR위원회'를 자율적으로 만들어 윤리ㆍ투명경영과 사회봉사 등 지속 가능한 경영활동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에서 회장단 회의를 열고 기업의 CSR 강화를 위한 결의문을 채택했다. 전경련 회장단은 이날 회의에서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책을 표방한 새 정부가 규제개혁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나서고 있는 만큼 기업들도 국민들의 신뢰를 확보해나가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재계는 이날 기업의 CSR 강화를 위한 결의문을 채택하고 기업이 투자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본연의 책임은 물론 법적ㆍ윤리적ㆍ사회공헌적 책임을 수행해나가기로 했다. 재계는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회원 기업들에 대한 CSR 이행 수준을 평가하고 우수 기업 리스트를 공표해 벤치마킹 모델을 제시하기로 했다. 특히 재계는 기업의 CSR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각 기업별로 자율적으로 CSR위원회를 설치해 계열사 간 부당 내부거래나 오너의 부도덕 행위를 감시하는 한편 환경경영과 사회공헌활동 등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전경련도 '기업윤리위원회'를 대폭 강화해 기업들이 CSR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감시할 방침이다. 최태원 SK 회장은 이날 회장단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윤리경영이 실적보다 주가에 더 도움이 되는 것 같다"며 "기업의 CSR를 강화하기 위해 앞으로 더 높은 수준의 윤리경영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재계가 이번에 CSR 활동을 강화하고 나선 것은 새 정부의 기업친화적 정책에 대한 화답의 성격이 짙다. 회장단은 회의 후 한승수 총리를 초청한 가운데 만찬을 겸한 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자원외교 지원을 위한 재계 대책과 기후변화 대응 등을 중점 논의했다. 간담회에 배석한 이승철 전경련 전무에 따르면 전경련 회장단은 대상국의 인프라 개발 등과 연계한 쌍방향 자원개발의 필요성을 지적했고 한 총리는 이에 대해 "정부도 그와 같은 패키지형 자원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필요한 사항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어 "에너지 개발도 중요하지만 기후변화 대응책과 관련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절약 기술도 훌륭한 신성장동력 산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이날 회장단 회의 후 브리핑에서 삼성 사태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회장단 사이에서 특별히 논의된 것은 없었지만 기업하는 사람으로서는 수사가 빨리 끝나 삼성이 국가경제에 기여했으면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이날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는 재계 총수들이 대거 참석해 달라진 기업환경을 실감 나게 했다. 이날 회의에는 조석래 전경련 회장을 비롯해 정몽구 현대ㆍ기아차 회장, 이구택 포스코 회장, 최태원 SK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나아 회장, 조양호 한진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이준용 대림산업 회장, 박용현 두산건설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허영섭 녹십자 회장, 최용권 삼환기업 회장, 김윤 삼양사 회장, 신동빈 롯데 부회장,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등 16명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