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굴뚝산업에도 과학기술 혜택을

정진익<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디어사업단장>

지난 세모 때 ‘우리 수출이 계속 호조를 보이고 외환보유고도 2,000억달러에 육박하고 있다’는 통계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불황에 찌들어 있던 민심을 조금이나마 달래줬다. 또 삼성ㆍLG가 102인치 PDP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한국형 고속열차(KTX)가 세계 4번째로 시속 350㎞를 주파하는 데 성공했다는 발표도 지푸라기라도 잡고 불황의 수렁에서 빠져나가고 싶어하는 서민들의 마음에 다소나마 위안을 줬다. 올해 2005년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발표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다. 선진국들은 이를 기념하는 축제 분위기를 연출, 자국의 과학기술력을 상품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제는 ‘사이언스가 곧바로 상품화’되는 시대가 됐기 때문이다. 컴퓨터의 가공할 만한 산술능력이 과학기술의 학제간 벽을 허물어버렸다. 요즈음 잘나가는 기업체들은 ‘과학기술을 해야 살아남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KTX 350㎞ 주파 외에도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와 무균돼지 생산, 그리고 한국항공산업의 T-50 고등훈련기 개발, 석유공사의 동해가스전 개발, 정보기술(IT) 분야의 DMB시스템 개발 등 속속 선보이는 10~20년 후의 먹거리는 우리에게 큰 기대를 걸게 한다. 그러나 내수시장의 위축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상대적인 소외감뿐만 아니라 생존의 위기를 넘기려고 안간힘을 쓴다. 이들에는 과학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을 해야 된다’는 인식은 했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지 망막할 뿐이다. 경제가 어려웠던 지난 80년대 중반, 과학기술처의 K 장관은 그 짧은 재임 기간 중에도 중소기업 200여곳을 손수 찾아다니며 과학기술을 전수시켜 기업들의 특화기술 개발을 지원했다. 90년대 초반 과기처의 또 다른 K 장관도 100여개의 기업연구소를 순방하며 자생기술력 개발을 독려했다. 힘을 얻은 중소기업들이 신제품 생산에 발벗고 나섰고 중소기업계를 신바람나게 한 것만은 확실하다. 지금은 정부가 중소기업에 국가의 과학기술 혜택을 던져줘야 할 때가 아닌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