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학·연수수지 적자 2011년 100억弗 돌파"

장치순 중앙대 교수등 보고서


서비스 수지 적자 확대로 올해 경상수지 적자 전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서비스 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유학ㆍ연수수지 적자가 오는 2011년에 100억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장치순 중앙대 교수와 임준형 성화대 교수, 모수원 목포대 교수는 ‘산업경제연구’ 19권 6호에 실린 ‘국제수지 관리를 위한 유학 및 연수경비의 예측’ 보고서에서 유학 및 연수경비와 관련된 여러 변수들로 모형을 구성, 2007~2011년 해외 유학ㆍ연수비 규모를 전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 유학ㆍ연수를 목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은 지난 2000년대 초반까지 10억달러대에 그쳤지만 2002년 14억3,000만달러, 2003년 18억6,000만달러, 2004년 24억9,000만달러, 2005년 33억8,000만달러에 이어 지난해 1~10월 36억7,000만달러로 급증했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해외 유학ㆍ연수비 지출은 급증세가 지속돼 ▦올해 45억7,000만달러 ▦2008년 54억8,000만달러 ▦2009년 67억달러 ▦2010년 83억달러에 이어 ▦2011년에는 103억6,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교육 여건이 미흡해 국내에 유학ㆍ연수를 목적으로 들어오는 돈은 거의 없다 보니 해외 유학ㆍ연수비 지출이 유학ㆍ연수수지의 적자가 되는 것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유학ㆍ연수수지 적자 규모는 2002년 14억1,000만달러, 2003년 18억4,000만달러, 2004년 24억8,000만달러, 2005년 33억7,000만달러, 2006년 1~10월 36억7,000만달러로 집계돼 해외 유학ㆍ연수비 지출이 고스란히 유학ㆍ연수수지의 적자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