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알데 "시장 회복도움 새모델 마련 주력"에두아르도 두알데 아르헨티나 임시 대통령이 2일 자유시장경제 포기를 시사, 두알데 과도정부가 국제금융시장에 반기를 들고 나섰다.
국제금융계는 과거의 선례를 들어 아르헨티나 정부가 과도한 외채를 탕감받기 위한 술수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지만 두알데 과도정부의 진의를 파악하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두알데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자유시장경제 정책으로 지금 한푼의 페소화도 남지 않았다.
오늘부터 닳아 빠진 경제모델을 버리고 부(富)의 분배와 시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경제모델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아르헨 위기의 원인을 경제 시스템에서 찾고, 정책 노선의 변경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것.
두알데 대통령은 정치 성향상 좌익 인민주의자로 분류되고 있다. 그는 극소수의 부유층과 대다수 빈곤층 사이의 격차를 초래한 과거 정권들의 자유시장경제 정책을 맹렬히 비난해 왔다.
특히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지사 시절에는 재정 확대를 통한 인기영합 정책을 구사, 아르헨 23개주 가운데 가장 많은 빚을 기록한 전력도 갖고 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면 그가 자유시장경제를 접어두고 포퓰리즘을 바탕으로 한 보호주의에 나설 공산이 크다.
그러나 아르헨은 국제통화기금(IMF)을 필두로 한 국제사회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두알데 대통령의 최근 행보가 자국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IMF 등 국제사회의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벼랑 끝 전술'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실제 미국은 아르헨의 요청이 있기도 전에 "지속 가능한 경제 계획을 제시할 경우 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천명했다.
아르헨 싱크탱크인 파운데이션 캐피털의 경제 전문가 마르틴 레드라도는 "두알데 대통령의 경제 정책은 미궁 속에 있다(a leap into the unknown)"고 말했다.
당분간 IMF 등 국제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보다는 사회적 소요를 가라 앉히기 위한 인기 영합적 경제 정책을 펴겠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변경 가능성 역시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구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