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년간 특목고 출신 서울대 진학생수 입시제도 따라 증감 거듭

지난 10년간 특수목적고등학교(외국어고ㆍ과학고ㆍ예술고 등)의 서울대 진학생 수가 입시제도 변화에 따라 증감을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대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정문헌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98년 특목고 출신 서울대 합격자 비율은 24.1%였으나 특목고 학생에 대한 동일계 비교내신제가 폐지되면서 이듬해인 1999년 13.9%로 떨어졌다. 2000년 12%까지 내려간 비율은 2004년까지 12∼13%대에 머물렀으나 ‘수시모집 특기자 전형’도입 후 2005년에 15.3%, 2006년에는 17.1%로 반등했다. 특목고 사이에서도 계열별 또는 학교별로 명암이 엇갈렸다. 서울 소재 13개 특목고 중 외고 6곳은 지속적인 급락세를, 과학고 2곳은 하락 후 반등세를, 예고 5곳은 꾸준한 보합세를 보였다. 외고 출신 서울대 합격자 수는 1998년 363명으로 당시 서울 소재 특목고 출신 합격자 수(770명)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으나 1999년 232명으로 급격히 떨어진 뒤 2002년에는 125명으로 4년 만에 3분의1가량으로 줄어들었다. 2004년과 2006년에 각각 184명과 183명으로 ‘반짝 오름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2007년 140명으로 추락했다. 과학고 역시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외고와 같은 ‘시련’을 겪었으나 이공계 우수인력을 데려오려는 입시정책의 변화에 힘입어 최근 들어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과학고 출신 합격자 수는 1998년 232명에서 1999년 67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2002년 38명으로 바닥을 친 뒤 80명(2005년), 107명(2006년), 116명(2007년)으로 회복세에 있다. 한편 예고는 10년 동안 서울대 음대와 미대 모집정원의 상당부분을 ‘고정좌석’처럼 차지해오고 있다. 서울대의 한 관계자는 “동일계열 비교내신제를 적용하지 않아 외고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과학고의 경우 이공계 단과대에서 우수 인재를 끌어오기 위해 수시 특기자전형을 확대해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