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DJ의 방북과 남북정상회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신년 인사를 받는 자리에서 “날이 풀리면 철도를 이용해 북한에 가고 싶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2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하고 있는 가운데 김 전 대통령이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위한 특사 역할을 자청하고 나서 새해 첫날부터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벌써부터 정가에는 김 전 대통령의 방북으로 제2의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에서 존경받고 있는 김 전 대통령이 노환으로 불편한 몸을 이끌고 평양을 방문할 경우 북측으로서도 나름대로 ‘성의’를 표시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남과 북은 지난해 교역량 10억달러에 방북자 수 8만명, 개성공단 입주 및 남북경협사무소 개소 등 활발한 교류로 관계 개선을 이뤘다. 또 올해에는 군사당국자회담, 남북경협추진위원회, 이산가족 상봉뿐 아니라 도로ㆍ철도 개통 등으로 남북 관계를 한단계 도약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김 전 대통령이 ‘대북 특사’로 방북 길에 오른다면 북측도 태도를 바꿀 것이라는 전망이 지나친 낙관론만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미국의 남북 관계 속도 조절 요구, 남한 내 반(反)김정일 정서와 대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여론으로 김 위원장의 답방은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한다. 실제 북한의 신년 공동 사설을 읽어보면 북측의 태도가 올해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북한은 공동 사설에서 핵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강성대국 건설’과 ‘우리식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기존 입장만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 지도부가 북ㆍ미 관계 개선을 통한 미국의 신변 안전 보장 없이는 쉽게 회담석상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점쳐지기도 한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현실적으로 장애 요소가 많다. 다만 남측이 서울이 아닌 중국이나 러시아, 또는 휴전선 인근 지역으로 회담 장소를 제안할 경우 북측이 전격적으로 수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를 반영하듯 김 전 대통령은 신년 하례식에서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할 수 없다면 도라산에 와서라도 정상회담을 꼭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직 대통령도 발벗고 나섰다. 남은 문제는 남북 정상들의 결단과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