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상파DMB 서비스, 하반기로 미뤄질 듯

"콘텐츠 미비.내부조정으로 7월에나 가능"

최근 본방송을 개시한 위성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와 치열한 경합을 벌이게 될 지상파DMB의 본 서비스가 올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3일 관련기관 등에 따르면 방송위원회는 지난 3월28일 지상파와 비지상파 각 3개사 등 모두 6개사를 지상파DMB 사업자로 선정했으나 공식적인 사업허가 추천은 오는 7월에나 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달 초 허가 추천서를 공식 교부하기로 한 당초 방침보다 크게 늦어진 것으로 선발 지상파DMB 사업자들의 콘텐츠 미비와 내부 준비작업 지연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무료 서비스를 천명하고 있는 지상파DMB는 지난 1일부터 본 서비스에들어간 위성DMB와의 시장 선점 경쟁에서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DMB 사업 관계자는 "콘텐츠 문제 미비와 내부 조정 등 준비작업 지연으로일부 선발 사업자들의 본방송이 상당기간 지연될 것"이라며 "지상파DMB의 실제 서비스는 오는 7월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상파DMB 사업자 중 일부 선발업체는 사업자 선정 이전부터 관악산 지역에 DMB실험국 등 관련시설을 운영해 조기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관측돼 왔다. 특히 KMMB와 한국DMB-CBS, YTN DMB 등 비지상파군 3사의 경우는 서비스에 필요한 장비 등의 발주 및 구매, 스튜디오 설치 등 필요한 설비 확보에 수개월간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어서 본격적인 서비스는 개별 사업자 사정에 따라 연말까지 지연될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정통부는 "방송위측이 허가 추천을 의뢰해 오면 법규상 60일 이내에 허가를 내줘야 하지만 서비스의 조기정착을 위해 가능한 이른 시일안에 공식 허가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권용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