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주택 분양시장 중심이동

주택 분양시장 중심이동 대도시서 중소도시로 소형서 대형평형으로 주택 분양시장의 중심이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소형 평형에서 대형 평형으로 이동하고 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까지 분양된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24만5,851가구를 조사한 결과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분양물량이 대체로 감소한 반면 지방 중소도시는 증가했다. 지역별 분양물량을 보면 서울의 경우 지난 1~10월 3만6,142가구가 분양돼 지난해 동기(3만6,046가구)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경기도,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전체로 보면 올해 공급물량은 12만5,728가구로 지난해(13만7,971가구)보다 8.9% 감소했다. 지방 광역시도 광주를 제외하곤 모두 분양 물량이 줄었다. 광주의 경우 9.1%(8,384가구)가 증가했지만 ▦부산(1만115가구, 54%) ▦대구(1만684가구, 32.3%), 대전(1만1,571가구, 25.1%), 울산(3,783가구, 20.9%) 등 모두 큰 폭으로 아파트 공급이 감소했다. 반면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7만5,586가구로 작년 동기(6만9,035가구)보다 9.5% 증가했다. 이는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이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는 투기과열지구로 묶이고 개발이익환수제 등 재건축에 대한 규제도 많아지면서 건설사들이 지방으로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는 내년에도 지방 중소도시를 집중 공략한다는 계획이어서 이 같은 추세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편 중대형 평형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분양 아파트의 평형은 커지고 있다. 올들어 10월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 중 40평형대 이상은 총 4만8,277가구로 작년 동기(4만891가구)에 비해 18.1% 급증했다. 반면 40평형대 이하는 19만7,067가구로 작년 동기(23만1,301가구)보다 14.8% 감소했다. 평형별로는 ▦20평형 미만 29.3% ▦20~30평형 33% ▦30~40평형 5.9% 등의 감소세를 보였고, ▦40~50평형 22% ▦50평형 이상 8% 등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계속될 지는 미지수다. 내년부터 도입될 종합부동산세의 영향으로 대형평형 공급이 다소 위축될 수 있고 채권입찰제로 택지지구 내 전용면적 25.7평 이상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연선 기자 bluedash@sed.co.kr 입력시간 : 2004-11-21 14:4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