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우물 경영' 기업이 장수한다

기협, 30년이상 中企조사… 기술혁신 통해 경쟁력 키워

70년대 석유파동, 80년대 노사분규, 97년 외환위기, 최근의 극심한 내수침체까지 지난 30년간 크고 작은 경제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장수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있다. 강산이 3번 바뀌는 동안 이들 기업들이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김용구)가 14일 30년 이상 된 중소제조업체 202개사를 대상으로 ‘장수중소기업의 경영특성 및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86.6%가 창업초기 사업분야를 고수하며 한 우물 파는 경영을 실천하면서 시장 변화에 따른 끊임없는 기술혁신과 혁신역량 강화에 주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이후 가장 중시한 경영 전략으로는 ‘기술혁신’(54.2%)과 ‘고객 서비스’(18.9%)를 우선 순위로 꼽았다. 또 앞으로 본업과 관련한 경영전략에 대해서는 49%가 본업에 주력하면서 신 사업 분야를 개척하겠다고 응답하고 했으며 46%는 본업에만 주력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이들 중 73.3%가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경영상 위기를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그 원인으로는 시장수요변화(32.7%), 대금회수부진(17.9%), 자금조달불가(12.2%), 마케팅능력부족(7.1%) 등을 들었다. 이런 가운데 경영상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위기관리 자금동원’(24.2%)과 ‘신기술 개발’(22.3%) 등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이 오랜 기간 존속할 수 있었던 비결에 대해서는 ‘거래기업과의 신뢰구축’(23.4%), ‘경영 노하우의 축적’(18.3%), ‘끊임없는 기술혁신’(14.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이들 장수 중소기업 가운데는 현재 ‘2대째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59.3%)가 가장 많았으며, 창업주 경영 3.5%, 3세대 경영 6.6%에 불과해 창업2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권 참여에 대해서는 ‘직계가족승계’ 48.0%, ‘창업자 경영권 지속’ 34.7%, ‘전문경영인’ 9.9% 등의 순으로 나타나 직계가족에게 경영권을 승계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기협중앙회 관계자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중국 등 후발공업국들과의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는 장인정신을 가진 장수기업의 발굴 및 육성이 중요하다”면서 “이들 장수기업의 브랜드ㆍ세제ㆍ가업승계 등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