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권 '포스트 이해찬' 說 무성

김혁규 최고위원·진념 前부총리 거론 속<br>전윤철 감사원장 등 '관리형 총리' 제기도

열린우리당 내에서 이 총리의 사퇴가 불가피하다고 판단, 벌써부터 후임자를 놓고 말이 무성하다. 당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참여정부 남은 임기동안 각종 로드 맵을 마무리 짓기 위해서는 정치인 출신이 후임 총리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4년에도 총리 물망에 올랐던 김혁규 최고위원와 진념 전 경제부총리 등이 물망에 오르고있다. 김근태 최고위원도 거론되지만 김 최고위원측은 가능성을 일축했다. 영남권 배려 차원에서 한나라당 소속인 이의근 경북도지사도 거론되지만 한나라당의 반발이 심해 현실화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편이다. 이와 달리 5월 지방선거를 앞둔 현 시점에서 비정치인이 후임 총리가 돼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야당의 선거 관리 공정성 시비 등 불필요한 소란을 피하고 대통령의 국정을 뒷받침하는 ‘관리형 총리’가 적절하다는 시각이다. 전윤철 감사원장이나 시민운동가인 박원순 변호사, 정운찬 서울대 총장 , 김정배 전 고대총장 등이 이 후보로 거론되고있다. 특히 호남 출신인 전 원장은 국민의 정부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전통적 지지층 복원이라는 ‘부수입’도 노릴 수 있어 호남 지역 의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박하긴 해도 노 대통령이 이 총리 유임이라는 ‘초강수’를 둘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