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전투병력 5천명線 파병 요구

이수혁(李秀赫) 외교부차관보는 9일 이라크 추가파병과 관련, “정부는 `평화재건`을 위한 3,000명 수준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미국측은 `안정화 작전`을 위해 보다 큰 규모를 희망했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당국자가 파병부대의 성격과 규모를 둘러싼 한미간의 이견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이 차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미국은 터키의 파병계획이 취소된 뒤 한국의 파병을 더 간절히 원하고 있다”고 말해 강도 높은 전투병 파병요구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미국측은 병력 수를 제시하지 않았으나, 사단사령부와 전투여단 및 지원부대를 요구했다”면서 “이를 수용할 경우 파병 병력이 5,000명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우리측은 현재 서희ㆍ제마 부대가 주둔중인 이라크 남부 나시라야 지역을 맡는다면, 야전공병단 2,000명과 전투병1,000명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개진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실무협의를 통해 미국과의 이견을 조율한 뒤 16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 도널드 럼스펠드 미국 국방장관 등과 파병 문제를 다시 협의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합동 조사단장인 김만복(金萬福) NSC 정보관리실장은 이날 귀국 직후 “이라크 각계 인사들과 면담한 결과 전후복구 지원을 위한 파병을 원한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라크 치안 상황에 대해 “지난달 말부터 최근 들어 위협세력이 점차 조직화해 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모술 경찰서장은 `8개 행정구역 가운데 6개 구역이 안정적`이라고 말했으나 파병을 앞둔 입장에선 아직 불안하다”고 말했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관련기사



고태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