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3월 6일] 민노총의 노선변화 선언 실천이 중요

김영훈 민주노총 신임 위원장이 "민노총을 온건한 조직 이미지로 바꾸겠다"고 밝혀 강성투쟁 일변도의 이미지를 가진 민노총이 어떻게 변신할지 관심을 모은다. 신임 민노총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노동환경이 크게 바뀌는 가운데 최근 회원노조의 탈퇴가 늘어나면서 더 이상 투쟁 일변도의 노선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볼보코리아 노조가 탈퇴한 것을 비롯해 올 들어 민노총을 탈퇴한 노조만도 6곳이나 된다. 이처럼 민노총을 등지는 노조가 늘어나는 것은 근로자의 권익개선보다 정치성 투쟁에 전념하는 민노총에 염증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점에서 신임 위원장의 노선변화 선언은 매우 의미가 크다. 그러나 실천이 중요하다. 과거에도 취임 초 비슷한 의지를 가졌다가 강경파의 반발로 용두사미격이 된 전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신임 위원장의 노선변화 의지가 노동계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실천이 뒷받침돼야 한다. 예를 들어 개정 노조법을 인정하고 참여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민노총은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개정 노조법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활동에 큰 변화를 초래할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두 차례 열렸으나 민노총은 이달 초 참여의사만 밝혔을 뿐 아직 2명의 위원을 위촉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말 노조법 개정협상을 전면 거부한 기존의 입장에서 달라진 것이 없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치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민노총이 기존의 강성투쟁 이미지를 벗고 근로자를 위한 합리적인 노동조직으로 변신하기 위한 첫번째 과제는 법을 지키는 것이다. 법을 지키지 않으면서 온건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우선 개정 노조법을 인정하고 법 시행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그리고 노동자의 이익을 챙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기업과 경제현실을 직시하고 노사관계 선진화나 경쟁력 강화 같은 국가적 현안을 푸는 데 동참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국제경쟁 심화와 글로벌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근로자는 물론 국민의 의식에도 큰 변화가 일고 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민노총 탈퇴 노조가 갈수록 늘어나는 것도 이런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번 신임 민노총 위원장의 온건노선 변신 선언이 구두선에 그치지 않고 실천에 옮겨지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