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영어마을 추가 건립… "예산낭비 전시행정" 비판

서울시"영어마을 2개 추가 건립"…기존 시설도 적자인데<br>"차라리 학교내 영어체험 교실 만들자" 주장도

서울 풍납ㆍ수유동 영어마을이 적자운영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2개 영어마을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사교육비 경감과 해외유학 차단 효과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는 영어마을의 추가 건립이 세금만 갉아먹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치적 쌓기’ 용 행정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5일 시에 따르면 현재 민ㆍ관 합동으로 운영하는 서울 풍납동 영어마을은 올해 2억 5,000만원~3억 5,000만원, 수유동 영어마을은 4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된다. 시는 지금까지 풍납동 영어마을에 운영비로만 18억3,000만원을 지원했다. 사업 초기 설비비만 지원하기로 했으나 민간 업체의 적자 폭이 커지면서 운영비에까지 세금을 쏟아 부었다. 시는 내년부터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고 자립경영을 유도할 방침이다. 하지만 30대 1에 달하던 영어마을 입소경쟁률은 현재 평균 2대 1 이하로 추락했다. 올해 정원까지 늘어나 내년부터는 입소정원도 다 채우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가비(5박6일 16만원) 인상 없이는 자립경영이 불가능하지만 관이 운영에 참여하고 있어 비용 인상도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는 지난 11일 ‘교육지원 4개년 계획’을 통해 2,344억원을 들여 청소년 문화공간과 서울 서북부에 2개 영어마을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투자에 비해 실익이 적은 영어마을 설립이 예산낭비이며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매년 영어마을 운영비로만 무려 220억원을 지원하고 있는 경기도의 영어마을 조차 지난 국정감사에서 ‘D+’ 평가를 받았다. 5박 6일 일정으로는 해외유학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없고 저소득층 학생이 이용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서울 영어마을도 현재 정원의 20%를 기초생활수급자 중에서 받고 있지만 차상위계층은 참가비에 대한 부담으로 실질적인 수혜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그나마 입소한 20%의 기초생활수급자 아이들은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영어마을 안에서 위화감만 느끼고 얻는 것도 없이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사정이 이렇자 최근에는 학교 내에서 영어체험 교실을 만들어 운영하자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초등학교의 빈 교실에 영어마을 세트를 투입해 영미 문화권 체험 기회를 공교육의 틀 안에서 제공하자는 것. 부두완 서울시의원은 “세트를 만드는 비용이 4,000만원~5,000만원 정도로 서울지역 568개 초등학교에 모두 세트를 만든다 해도 300억원 정도면 소규모 영어마을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어차피 상류층 아이들의 해외유학을 막을 수 없다면 해외유학을 갈수 없는 저소득층 아이들에게라도 혜택이 돌아가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