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용경색 우려땐 긴급자금 지원"

13일 금융정책협의회…시장점검 TF 운영키로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부실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자 정부가 해외 금융기관이나 금융상품의 추가 부실이 발생할 경우 국내 금융기관에도 긴급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ㆍ유럽ㆍ일본 등 20여개국 중앙은행은 지난주 말 BNP파리바은행이 3개 펀드의 환매를 중단하자 3,000억달러의 자금을 시장에 지원했다. 김석동 재정경제부 제1차관은 13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금융정책협의회를 가진 후 서브프라임 부실과 관련해 “국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상황이 우려될 경우 유동성 조절대출과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즉시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유동성 조절대출은 한국은행이 시중 금융기관에 3개월 정도 현저히 낮은 금리로 자금을 긴급 지원하는 것이며 RP 매입은 한은이 채권을 사들여 자금을 푸는 것이다. 김 차관은 “개별 금융기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유동성 조절대출로, 전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문제는 RP 매매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이승일 한은 부총재와 윤용로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재경부는 다만 현재 85%인 외화유동성 비율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국내 금융기관의 서브프라임 투자규모는 8억5,000만달러로 평가손실이 10%에 그치고 국내 주택담보대출 시장 역시 연체율이 낮아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제한 뒤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리스크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2금융권에 대한 건전성 조치를 차질 없이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금융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재경부ㆍ금감위ㆍ한은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상황점검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