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강변 '유도정비구역' 개발 닻 올렸다

市, 잠실·반포·당산지구 정비계획 수립용역 발주<br>이달 중 가이드라인 발표…망원지구는 일단 빠져

서울 한강변 '유도정비구역'에 대한 개발사업이 닻을 올렸다. 서울시는 전체 5개 유도정비구역 중 ▦잠실지구(67만4,000㎡) ▦반포지구(76만㎡) ▦당산지구(22만㎡)에 대한 지구단위정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용역은 빠르면 오는 2011년 말 마무리돼, 이들 지역에 대한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등의 후속 절차가 이어질 전망이다. 일단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되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상 노후도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대로 정비사업에 착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마포구 망원지구는 이번 용역대상에서 제외돼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등 후속작업이 다른 지역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건기 서울시 건축기획과장은 "지구단위정비계획 수립을 두고 마포구와 추가 검토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며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망원지구에 대해서도 용역이 발주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업계 일각에서는 그러나 망원지구의 경우 유도정비구역 지정 이후 극심한 '지분쪼개기'가 일어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작업이 상당기간 지연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의ㆍ자양지구는 광진구가 자체적으로 지구단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해 추후 서울시와 협의를 거칠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유도정비구역에 대한 개발 '기본구상안(가이드라인)'을 이 달 안에 발표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대략적 용적률과 각 지구 별 구역조정안 등이 담겨 있어 이를 토대로 지구단위정비계획을 짜게 된다. 하지만 최근 서초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반포지구 개발 기본구상안'을 내놓는 등 실제 정비계획 수립을 둘러싸고 시와 자치구 간 이견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은 변수로 지목된다. 전영진 예스하우스 대표는 "그나마 잠실과 같은 아파트지구는 사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지만 구의ㆍ자양, 망원, 당산 등 재개발지구는 변수가 워낙 많아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