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4 제약업계 경영전략] CJ㈜ 제약사업본부

CJ㈜ 제약사업본부(본부장 김홍창 부사장)는 올해 매출목표를 지난해 2,400억원(잠정)보다 16% 이상 신장한 2,800억원(순이익 150억원)으로 잡았다. 올해 250억원 규모의 신약개발 투자를 통해 순환기ㆍ당뇨ㆍ비뇨생식기ㆍ백신ㆍ조혈제와 기능성 드링크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한일약품 인수를 통해 부족한 생산능력을 확충하고 다양한 제형ㆍ품목 확보, 코마케팅을 통한 시너지 창출 등을 기대하고 있다. ◇주력사업 및 시장공략 목표=CJ 제약연구소는 첨단 핵심기반기술 및 핵심 연구인력의 확보, 국내외 네트워킹 등을 통해 선진국과 대등한 경쟁이 가능한 R&D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생명공학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매출액의 10% 이상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 수년 안에 국내 1위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미국 중국 동남아 남미 등 고성장 잠재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미얀마 프로젝트에 이어 베트남 백신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신약개발의 목표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미래형 치료제군과 고령화 등으로 인한 삶의질(QOL)제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기존 약효군의 경우 항암, 순환, 당뇨 및 건강기능성제품 등의 제품 개발과 도입을 강화하고자 한다. 신규약효군은 중추신경계, 비뇨생식기계, 호흡기계 및 QOL 분야에 대한 유망 신제품 발굴 강화에 치중하고 있다. ◇연구개발 방향=CJ㈜ 제약연구소의 연구개발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백신ㆍ사이토카인 등 생물학제제 및 발효ㆍ합성에 의한 원료의약 기술을 바탕으로 신제품을 적극 개발하고 중ㆍ장기적으로는 각종 암ㆍ대사성 질환 등을 타겟으로 한 `하나뿐인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는 데 두고 있다. 지난해 녹농균백신에 대한 신약허가를 받고 자체개발한 심바스타틴 성분의 고지혈증치료제를 출시했다. 고혈압치료제(암로디핀의 신규염제제)도 개발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생리활성물질 부문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1세대 제품의 해외진출을 중점 추진하고 2세대 제품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다. 지난해 국가사업자로 선정된 두창백신, 유망 퍼스트 제네릭 개발에도 가속도를 내고 있다. 또 관절염ㆍ당뇨치료제 등 9가지 분야의 신규 후보물질을 전임상에 진입시키는 한편, 신약허가를 획득한 녹농균백신을 포함해 4가지 유망 신약에 대한 기술수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특히 전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임상시험에 진입한 간경화치료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이 약물의 국내시장은 200억원, 세계시장은 1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정두환 기자 dhchung@sed.co.kr>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