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피부·성형외과 ·치과 '불황 직격탄'

非 보험 진료 많아 일반병원보다 환자 큰폭 감소<br>수술비용 낮췄는데도 매출 30%이상 줄어… 휴·폐업 병의원 속출<br>한의원 성수기 불구 보약특수 실종 '울상'

불경기 속에 소비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병원을 찾는 환자도 줄고 있는 가운데 특히 비 보험진료가 많은 치과·성형외과·피부과 등은 매출 감소가 일반병원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심화하는 등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들 병원들이 시술비를 내리는 등 고육지책을 쓰고 있는데도 환자가 크게 줄어드는 등 불황의 여파를 심하게 받고 있는 것이다. 보약 판매에 매출의 상당 부분을 의지하고 있는 한의원도 수요가 급감, 한파를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22일 수도권의 병ㆍ의원에 따르면 성형외과·피부과·치과 등 일부 의료기관이 높은 가격의 치료비용을 낮추고 있지만 경기불황에 따른 환자들이 갈수록 줄면서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30% 이상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원시 L성형외과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오전, 오후로 나누어 하루에 두 번 이상의 성형수술을 했는데 요즘에는 수술이 없는 날도 많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성형외과 원장K씨는 “한 달에 50~60건 정도의 수술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20건 정도로 줄었다”며 “IMF 당시보다 더 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C성형외과는 3개월 전까지 매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던 지방흡입수술 환자가 40%까지 줄어 하루 평균 2~3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피부과도 마찬가지다. 레이저치료 등 미용진료환자만 하루 평균 20명이 넘었던 M피부과는 비보험 진료인 아이피엘(피부미백 시술) 시술비를 회당 4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점 빼는 수술을 개당 5만원에서 3만원으로 가격을 대폭 내렸는데도 환자 수는 오히려 10명 안팎으로 줄어든 실정이다. 서울 강남ㆍ북에 지점이 있는 한 피부과 네트워크 원장은 “미용을 주로 하는 강남지점은 신규 환자가 크게 줄고 기존 고객들도 노화ㆍ레이저 치료 등 고가 치료를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최근 주변 두 곳의 피부과가 잠정 휴업 또는 문을 닫았다”고 밝혔다. 치과 환자 감소는 더욱 심한 편이다. 수원지역 내L치과는 200만원가량하던 임플란트 시술비를 180만원으로 낮추고 치솟는 금값에도 불구하고 금보철(30만~40만원) 비용을 동결했지만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최근 들어 절반 이상 줄어든 하루 10~15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환자들은 금보철 대신 보험이 적용되는 값싼 아말감보철을 선호, 관련 환자가 올 초보다 20% 이상 늘었다. 보약 수요가 늘어나는 가을철이 성수기인 한의원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한의원 택배업을 하는 최모(30)씨는 “보약 배송량이 예년에 비해 30% 이상 크게 줄어든 것 같다”고 밝혔다. 강남구 논현동의 한 한의원 관계자는 “예년 같으면 가족이 함께 먹던 보약을 돈을 아끼기 위해 자녀에게만 먹이는 부모들도 늘어났다”며 “가을철 보약특수는 옛말”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의원들은 경기 여파를 덜 받는 관절염ㆍ비염ㆍ척추 등 질환의 전문치료분야를 내세우며 환자 잡기에 나서고 있다. 병원 관계자들은 “이 같은 경기불황이 장기화할 경우 비보험 진료가 많은 성형외과ㆍ피부과ㆍ치과 등은 문을 닫는 곳이 더욱 늘어날 것” 이라고 입을 모았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