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안 앞바다 유조선 충돌…기름 유출 '비상'

남동방향으로 확산…양식장등 피해 불가피<br>95년 씨프린스호 사고 당시 유출량의 3배


태안 앞바다 유조선 충돌…기름 유출 '비상' 남동방향으로 확산…양식장등 피해 불가피95년 씨프린스호 사고 당시 유출량의 3배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태안=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관련기사 • 태안서 기름 1만톤 유출 '최악 사고' • "죽음의 띠 몰려올라" 어민 발 동동 • "전복·해삼서 기름냄새가 나면…" • 씨프린스호 사고 당시와 차이점 3가지 • 태안 앞바다 유조선 사고… 어민들 '긴장' • 태안 유조선 사고로 신안 양식장 피해 우려 해양경찰청은 7일 오전7시30분께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5마일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홍콩 선적 14만6,000톤급 유조선 헤베이 스피리트와 해상크레인을 적재한 1만1,800톤급 부선이 충돌하면서 유조선 왼쪽 오일탱크 3개에 구멍이 나 1만810㎘의 원유가 사고해역으로부터 남동 방향으로 폭 2㎞, 길이 7.4㎞로 확산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로 유출된 원유량은 국내 최악의 해양오염 사고였던 지난 1995년 씨프린스호 사고 당시 원유와 연료유 5,035톤이 유출됐던 것과 비교하면 3배 규모로 사상 최대의 해상 기름유출 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당시 씨프린스호(14만4,567톤급)는 7월23일 전남 여수시 남면 소리도에서 8만8,381㎘의 기름을 적재하고 운항 중 암초에 좌초되면서 원유 및 연료유 5,035㎘를 유출, 여수ㆍ부산ㆍ포항 해역에 기름이 오염돼 어장과 양식장 피해가 443억원에 달했고 기름 회수작업도 5개월이나 걸리기도 했다. 정부는 이번 사고와 관련, 해양수산부에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고 해양경찰청은 방제대책본부를 가동, 전국 방제세력 동원령을 선포하는 등 수습에 나서고 있으나 양식장 피해 등 정확한 피해규모는 추산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조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태안 일대의 가두리 양식장이나 갯벌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현장에는 해경정 12척과 방제선 3척, 헬기 4대를 동원, 선박 주변에 오일펜스를 치고 긴급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아직 기름유출은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사고는 인천대교 공사작업을 마친 해상크레인을 2척의 바지선을 이용, 경남 거제로 예인하던 중 한 척의 바지선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중심을 잃고 유조선과 충동,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충남도는 도청에서 사고통제본부를 설치하고 양식장 등 어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완구 도지사 주재로 실ㆍ국장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마련에 나섰다. 한편 이 사고와 관련, 해당 유조선을 통한 원유 수입사인 현대오일뱅크도 상황파악에 분주한 가운데 충남 대산공장 직원들을 전원 비상대기 조치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현대오일뱅크 측은 “원유를 대산공장으로 이송하던 유조선이 풍랑주의보 속에 대기하던 중 해상크레인과의 충돌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피해규모와 정확한 원인을 파악 중에 있다”고 밝혔다. 입력시간 : 2007/12/07 17: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