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서부항만 파업 장기화

국내 무역대란 우려 고조컨테이너 3만 7,000톤·자동차 1만대 하역못해 미국 서부 해안(웨스트 코스트) 29개 항만 파업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무역대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미국 서부항만은 미국에 대한 우리의 수출물량 가운데 63%를 처리하고 이를 통한 연간 수출입 물량이 184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7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서부항만에 취항 중인 우리 선박 가운데 정기선 16척과 자동차선 4척을 포함한 부정기선 9척 등 모두 25척이 외항에 머물고 있다. 지난 5일 현재까지 컨테이너 3만7,000톤, 자동차 1만여대 물량이 항만에 들어가지 못하고 대기하고 있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면 미국으로 갔던 배가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시기가 지연되면서 순차적으로 수출물량에 대한 선적 지연이 불가피해 연쇄적인 수출적체 파동이 우려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지난주 말부터 무역협회를 통해 업계의 피해상황 파악에 들어갔지만 시간이 갈수록 피해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무역협회는 이번 사태에 따른 수출입 차질 규모가 하루 5,053만달러(606억원)에 달하고 해운업계에서도 컨테이너선 1척이 하루 동안 기항을 못할 경우 2만5,000달러의 피해가 생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앞서 미 서부 지역 29개 항만의 사용자측인 태평양해운협회(PMA)는 노조측의 태업을 이유로 지난달 28~29일 36시간에 걸친 직장폐쇄에 이어 29일 밤부터 무기한 폐쇄를 선언, 군수물자 이외에는 하역을 중단했다. 미국 연방정부는 이에 따라 정부 직권의 조정명령권을 통해 80일간의 냉각기간 동안 정상조업이 이뤄지도록 하는 '태프트 하틀리법'을 발동하는 방안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