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폰 보조금 이달부터 줄듯

방통위 마케팅비 제한따라

올해부터 휴대폰 보조금을 포함한 통신업체들의 마케팅비가 매출액 대비 22% 이내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 휴대폰을 구입할 때 제공되는 보조금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3일 SK텔레콤ㆍKTㆍ통합LG텔레콤ㆍSK브로드밴드 등 주요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지난 3월5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주요 통신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소모적인 경쟁을 자제하고 마케팅비를 줄여 콘텐츠 및 기술개발에 투자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가이드라인은 이달부터 시행된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앞으로 통신업체들은 유무선을 분리해 각각 매출액의 22% 이내에서 마케팅비를 지출해야 한다. 매출액은 단말기 판매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 매출로 한정된다. 다만 마케팅비 총액 한도 내에서 1,000억원까지는 유무선을 이동해 지출할 수 있도록 했다. 무선 비중이 높은 사업자는 유선 부문 마케팅비에서 1,000억원을 무선 쪽으로 전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올해 1ㆍ4분기 통신사들의 매출액 대비 마케팅비 비중은 무선의 경우 ▦KT 29.8% ▦SK텔레콤 26.8%, ▦LG텔레콤 32.9%, 유선은 ▦KT 7.9% ▦SK브로드밴드 19.0% ▦LG텔레콤 13.4% 등이다. 유선은 마케팅비를 더 쓸 여지가 있지만 무선 부문은 가이드라인 한도를 모두 넘어 휴대폰 보조금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통신업체들이 일반폰에 들어가는 마케팅비를 줄이는 대신 스마트폰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아 스마트폰 가격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국내 통신사들의 마케팅비는 모두 8조200억원(무선 5조8,500억원, 유선 2조1,700억원)에 달한다. 신용섭 방통위 통신정책국장은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 올해 무선에서 8,000억원, 유선에서 2,000억원 등 1조원 정도의 마케팅비 절감효과가 기대된다"며 "절약되는 마케팅비를 연구개발에 투자할지 점검해 잘 이행되지 않을 경우 요금조정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통위는 앞으로 통신사 마케팅비를 매출액의 20% 수준까지 끌어내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