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조선업계 '10년 호황' 지속될듯

조선공업協 "2015년까지 세계시장 40% 점유율 유지" 전망

한국의 조선업이 오는 2015년까지 전세계 조선시장에서 4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호황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조선공업협회는 8일 발간한 ‘한국의 조선산업-성장과 과제’ 책자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향후 전망과 국내 조선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전략 등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의 선박건조량은 지난해 1,514만GT에서 오는 2015년에는 1,670만GT로 증가하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지난해 38.5%에서 2015년 40.13%에 달해 세계 조선산업 선도국의 위치를 유지할 전망이다. 선박 수출금액은 지난 해 153억달러에서 2015년에는 170억달러로 늘어나고, 조선기자재 수출규모도 5억달러에서 20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조선업계가 수주호황으로 대형컨테이너선이나 LNG선 등 가격이 비싼 선박을 위주로 선별 수주전략을 구사함에 따라 이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의 건조비중이 지난 해 18.5%에서 2015년에는 40%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의 경우 2015년까지 60%대의 점유율을, LNG선도 65%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세계 선박건조 수요는 지난해 3,720만GT에서 올해는 3,880만GT로 늘어나고 오는 2015년에는 4,160만GT에 달하는 등 연평균 1.7%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병호 조선공업협회 부회장은 “중국 등 철강생산이 늘어나면서 조만간 후판가격 안정 등이 예상돼 국내 조선업계의 중ㆍ장기 전망은 상당히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