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조업 R&D투자, G7 절반수준

정보통신ㆍ전기ㆍ전자등 일부 첨단업종에 편중<br>기술도입액 증가… 부가가치 유발효과 뒷걸음

국내 제조업체들의 연구개발투자가 선진7개국(G7) 평균치의 절반에 불과하며 그나마도 일부 첨단 전자업종에만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첨단기술 의존도가 높은 전기ㆍ전자, 정보통신 업종이 성장을 주도하면서 기술도입액이 매년 증가하고 부품ㆍ소재의 수입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제조업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뒷걸음질치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 동향과 특징’에 따르면 생산액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을 나타내는 연구개발집중도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우 지난 2000년 기준으로 1.43%로 조사됐다. 이는 G7의 평균치인 2.63%의 54%에 불과한 수준이다. G7 가운데 일본의 연구개발집중도가 3.59%로 가장 높았고 미국 3.04%, 독일 2.54%, 영국 2.45%, 프랑스 2.05% 등이었다. 우리 제조업 가운데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높은 전자부품ㆍ영상음향통신장비와 자동차의 경우에도 연구개발투자집중도는 G7 평균치에 견줘 각각 58%와 70% 수준에 그쳤다. 또 전체 제조업에서 전자부품ㆍ영상음향통신장비 연구개발투자가 43.8%를 차지, 미국(19.9%)과 일본(19.8%)에 비해 지나치게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의약품과 컴퓨터ㆍ사무용기기,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항공기 등 여타 첨단업종에 대한 투자는 모두 합쳐 14.9%에 불과해 미국(40.8%), 영국(49.0%), 일본(24.2%), 독일(21.4%) 등에 비해 크게 낮았다. 제조업 전체 연구개발투자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면서 지난해 10조3,2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9%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도 2001년 이후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1.56%를 나타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2002년 1.47%에서 지난해 2.02%로 상승했으며 중소기업은 0.85%에서 0.78%로 오히려 낮아졌다. 업종별로는 전기ㆍ전자업종이 17억2,000만달러로 전체의 53.2%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기계 4억9,000만달러 ▦서비스 2억3,000만달러 ▦화학 2억달러 ▦정보통신 1억8,00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도 95년 0.69에서 2000년에는 0.63으로 낮아져 일본의 0.87보다 훨씬 낮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