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외환·주식시장에 '메가톤급 호재'

"FRB와 파트너"… 대외신인도 높아질듯<br>경제규모등 감안땐 200억弗 안팎 예상<br>글로벌 경기 침체로 근본치유는 힘들어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외환·주식시장에 '메가톤급 호재' "FRB와 파트너"… 대외신인도 높아질듯경제규모등 감안땐 200억弗 안팎 예상글로벌 경기 침체로 근본치유는 힘들어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한미간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은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국내 외환ㆍ주식 시장에 메가톤급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물 CDS(크레디트 디폴트 스와프) 프리미엄이 급등하는 등 추락하고 있는 대외 신인도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최근 금융 불안은 해외발 요인에 기인한 데다 글로벌 실물 경기 침체가 기다리고 있어 근본적인 치유책으로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국내 금융시장에 단비= 한미간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은 대형 호재다. 무엇보다 미국으로부터 달러 수혈의 대상이 됐다는 자체가 긍정적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달러화를 찍어내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파트너가 됐다는 점으로만도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게 될 것”이라며 “4,000여명에 불과한 주한미군의 존재가 국가 안보 우려를 불식시키고 있다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통화 스와프 체결은 또 미국으로부터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을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현재 미국이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고 있는 나라는 유로권(ECB), 일본, 영국, 스위스,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뿐이다. 신흥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정부 관계자는 “FRB가 무너질지도 모를 나라를 상대로 통화스와프를 하려 들겠느냐”며 “우리나라의 국가 신인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외 신인도가 올라가면 기업들의 해외 차입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금융 시장 안정도 기대된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감 때문에 여러 악재에 대해 펀더멘털에 비해 과민반응하고 있다”며 “(협정이 체결되면) 환율이 하향 안정되고 증시도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와프 규모 200억 달러 안팎될 듯= 정부는 현재 통화 스와프 규모에 대해 입을 다물고 있다. 섣불리 얘기할 경우 칼자루를 들고 있는 미국측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측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미국이 뉴질랜드, 호주와 각각 150억 달러, 300억 달러 규모로 스와프 라인을 구축한 점과 우리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200억 달러 안팎이 될 것이라는 관측은 가능하다. 그만큼 우리나라로서는 원화를 주고 그만큼의 달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2의 외환보유액’이 생긴 셈이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달러를 찍어내는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통해 달러를 공급받을 안전장치가 마련된 것”이라며 “최악의 상황에 대한 우려가 금융시장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불안심리를 잠재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스와프 협정 체결은 일시적인 호재에 그칠 것이라는 견해도 만만찮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스와프는 일시적인 자금 부족을 메우는 것으로 영속적인 게 아니다”며 “근본적인 환율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서야 한다”고 말했다. 증시도 경기 회복, 기업 유동성 위기 불식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관련기사 ◀◀◀ ▶ [외환전략] 한-미 통화스왑 체결, 외환시장 안정 찾나 ▶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달러 유동성 부족 해소된다 ▶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외환·주식시장에 '메가톤급 호재' ▶ [증시 브리핑] 두터워진 안전판 ▶ '한-미 통화스왑' 국내증시 파급 강도는? ▶ [투자의맥] "메가톤급 호재… 주어담기 나서라" ▶ [시사경제용어] 국가간 통화스왑계약 ▶ 韓-美 통화스왑 체결… 300억弗 그 이상의 의미 ▶ [투자의맥]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등 추가대책 필요" ▶ 한은 총재 "통화스왑 계약, 외환시장 안정 기여" ▶ [투자의맥] "증시, 외화유동성 불안에서 벗어날 것" ▶ [투자의맥] "유동성 위기 해소, 증시에 호재" ▶ [투자의맥] 한-미 통화스왑, 원화가치 안정에 큰 기여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