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클릭! 알짜기업] '워터바이오' 수질오염 5분내 경보 시스템 개발

수은등 1,300종 독성물질 감지<br>올 전국 20곳에 공급·설치 추진

워터바이오㈜ 한용환 사장이 충북 옥천 본사에서 자체 개발한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조기경보시스템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수질오염 꼼짝마’ 오는 22일 물의 날을 앞두고 수질오염 발생시 5분만에 경보음이 울리고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까지 전송해주는 시스템이 개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충북 옥천군 옥천읍 소재 벤처기업 워터바이오㈜(대표 한용환)는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ㆍ완료하고 본격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워터바이오에 따르면 이 회사가 발명해 특허를 획득한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경보장치’는 미생물에 독성물질이 닿게 되면 미생물에서 발산되는 빛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컴퓨터가 이를 인식해 경보음을 울린다. 또 미리 저장해놓은 휴대폰으로 오염을 알려주는 문자메시지를 보낸다. 가령 상수원 등에 생활하수 또는 축산폐수, 공장폐수 등이 흘러 들 경우 극미량의 오염물질에도 미세한 효소반응을 보이는 해양미생물이 수은, 벤젠, 페놀 등 1,300여종의 독성물질을 감지해 5분내에 경보음을 울린다는 것이다. 특히 이 시스템은 24시간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인터넷을 통한 원격접속도 가능해 편리하다. 워터바이오㈜는 이 제품과 관련해 연초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성능인증을 받은 데 이어 공공기관 우선구매제품과 성능보험제품으로 인정되는 등 우수성을 공인 받았다. 워터바이오㈜는 올해 전국 20여곳에 이 시스템을 공급ㆍ설치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한 대표는 “급속한 산업화와 오염물질의 관리소홀 등으로 국민의 식수원이 오염되는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며 “생물학(BT)과 정보기술(IT), 환경기술(ET) 등이 접목된 이 제품이 향후 국민들의 건강과 함께 귀중한 환경자원을 지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회사는 또한 이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산학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생물조기경보시스템 대표 브랜드 B-TOX 개발에 함께 했던 충남대 이영하 교수(생물학과)와 함께 내년 상반기 개발완료를 목표로 B-TOX 800A 개발과제를 진행 중에 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