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KTFㆍLGT, 선ㆍ후발社 차별규제 요구

내년 번호이동성 도입을 앞두고 KTF와 LG텔레콤이 정부에 단말기 보상교환, 요금제도 등 차별적 규제정책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후발사업자들이 가입자 확보를 위해 1위 업체인 SK텔레콤에 선전포고한 셈이다. KTF와 LG텔레콤은 10일 정통부에 제출한 정책건의문을 통해 통신산업 균형발전이라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제도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사는 이날 건의문에서 “고품질 주파수 대역을 독점한 SK텔레콤으로의 가입자 쏠림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며 “시장 왜곡을 없애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양사는 앞으로 마케팅과 신사업부문에서 지속적인 공동보조를 선언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승부관건은 단말기다= 양사는 후발사업자의 가입자 확대를 위해 ▲단말기 보상판매 ▲단말기 무이자할부 ▲요금할인정책 ▲마일리지 보상 등에서 SK텔레콤과 차별규제를 요구했다. 우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이 가장 걸림돌로 여기는 단말기 신규구매와 관련해 후발업체에만 단말기 보상판매를 허용해달라고 요구했다. SK텔레콤 고객이 KTF나 LG텔레콤으로 서비스회사를 바꿀 때에만 단말기를 반납하면 5만~10만원을 보상해줘야 한다는 얘기다.. 양사는 현재 12~24개월간 허용되고 있는 단말기 할부판매제도도 선발사업자는 폐지하는 대신 후발사업자만 현행대로 시행해달라고 주장했다. 또 요금할인 판촉행사도 후발사업자는 현재보다 3배 늘리는 한편 SK텔레콤은 제도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다. SK텔레콤 고객들이 쌓아둔 마일리지도 타사 전환시 SK텔레콤이 보상하라고 덧붙였다. ◇SK텔레콤 “터무니없다”=SK텔레콤은 싸움에 말려들지 않겠다며 공식적인 논평을 일절 자제하고 있지만 이들의 주장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후발사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1,800만명에 달하는 SK텔레콤 고객의 권리는 제대로 보호 받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번호이동성제도 자체가 후발사를 위한 정책인데 차등시행에 이어 차별규제까지 요구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강조했다. 칼자루를 쥐고 있는 정보통신부는 양사의 건의문을 접수한 뒤, 내부 검토절차를 거쳐 시간을 갖고 수용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고전도 뜨겁다= 광고전쟁도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이통3사의 광고물량이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경쟁사를 정면으로 지목하는 `맞짱광고`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LG텔레콤은 이날 “SK텔레콤님 2004년 1월, 이동통신의 새로운 역사 앞에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이란 문구의 신문광고를 게재했다. LG텔레콤은 “선발사인 SK텔레콤이 비신사적ㆍ비상식적ㆍ비도덕적 마케팅을 자행, 경쟁사를 의도적으로 비하하는 행위를 사전에 차단, 공정경쟁을 촉구”하기 위해 이 같은 광고를 내보내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일부 대리점에서 뿌린 유인물의 경우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어 급히 수거했다”면서도 “고객을 대상으로 자사의 장점을 알리는 행위조차 불공정 행위로 보는 것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김호정기자 gadgety@sed.co.kr>

관련기사



김호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