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강남 주택담보대출 급감

6억↑ 주택 총부채상환비율 도입 약발

상환능력을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한 3ㆍ30 부동산대책이 나온 후 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투기지역에 대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기지역 시가 6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에 대해 담보설정비율(LTV)에 이어 소득수준에 따라 대출비율을 정하는 총부채상환비율(DTI)까지 적용하자 신규로 아파트 담보대출을 신청하는 것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박화재 우리은행 주택금융사업단 부부장은 “DTI 규제는 투기지역에 대해 담보대출 규제에서는 확실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이 지역에 대한 대출수요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규제 강화 직후에 우리은행의 투기지역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제도 시행 이후 한 달여 동안 총 1조6,092억원의 신규대출이 이뤄졌지만 비투기지역에서 이뤄진 대출이거나 중도금대출이 입주자대출로 전환된 금액이 대부분이라는 설명이다. 하루 평균 신규대출 증가폭도 지난 1ㆍ2월이 각각 280억원ㆍ370억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규제책 시행 이후에는 특정일을 제외하고는 200억원대를 밑도는 날이 많았다. 박환진 국민은행 한티역지점장(서울 강남구 대치동)은 “지역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고가 주택에 대한 대출신청이 눈에 띄게 줄었다”며 “과거에는 창구문의를 통해 바로 대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중도금대출을 입주자대출 등으로 전환해주는 등 기존 수준을 유지하는 정도”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같은 현상은 특히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구의 6억원 이상 아파트가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지역의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은행들은 가장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이 줄어들자 나름대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같은 건의 대출이 이뤄질 경우 강북에서 일어나는 대출보다는 강남 등 투기지역에서 발생하는 대출 규모가 클 수밖에 없다”며 “기존 대출 부족분을 신용ㆍ소호ㆍ중소기업대출 등 다른 부분에서 만회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최근 소호대출을 강화하기 위해 전담 영업팀인 ‘소호비즈니스센터’를 설치했으며 우리은행은 2조원 한도에서 개인사업자에게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소호서포터스론’을 판매 중이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