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요 실종 하락폭도 커져

수요 실종 하락폭도 커져 시세보다 4,000만원 싼 급매물도 거래안돼 서초ㆍ강남ㆍ송파를 제외한 강남권도 전 지역에서 매매ㆍ전세가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보합세를 유지하던 소형 아파트 매매가도 500만~1,000만원 정도 떨어졌고, 전세가 역시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정보통신에 따르면 한달전에 비해 매매ㆍ전세가가 평형ㆍ지역에 관계없이 일제히 하락세로 반전돼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수요 실종=중개업소의 개점휴업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매매수요가 실종되면서 시세보다 3,000만~4,000만원 정도 싼 급매물도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있다. 보합세를 유지하던 재건축 대상 소형 아파트도 500만~1,000만원 정도 하락했다. 강동구 암사동 동서울 15평형은 1억2,000만원으로 한달전 1억2,500만원에 비해 500만원 하락했고, 19평형도 1,000만원 정도 값이 떨어졌다. 명일동 일대 아파트 역시 많게는 2,000만원 정도 가격이 하락했다. 양천구도 전 평형에서 매매가가 하락했다. 목동신시가지 9단지 20평형은 한달 전에 비해 1,000만원 정도 떨어진 1억2,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있다. 중대형은 하락폭이 더욱 커져 시세보다 3,000만~4,000만원 저렴한 급매물을 중개업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로ㆍ금천 등 외곽지역도 매매가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강동구 암사동 한가람공인 임귀현씨는 "매물은 쌓이는데 실거래가 실종되면서 정확한 매매가를 산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소형 아파트 전세가 하락세 지속=봄 이사 수요가 몰리는 겨울방학이 얼마남지 않았으나 전세수요는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지금쯤은 전세수요가 하나 둘 증가하는 시기인데도 중개업소엔 임대매물만 늘어날 뿐이다. 소형 아파트 역시 전세가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강동ㆍ강서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0.5~1% 정도 가격이 하락했다. 재건축에 따른 이주수요로 한 때 강세를 보이던 영등포구도 30평형대 이상 중대형에서 전세가가 많게는 2,000만원까지 하락했다. 올 겨울 전세시장은 예년처럼 봄 이사 특수를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의 전망이다. 이종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