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8일] 고무적인 대기업의 채용 확대

대기업들이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규모를 크게 늘리기로 함에 따라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그룹은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인원을 당초 계획했던 4,000명에서 4,5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 삼성의 대졸 신입사원 채용규모는 상반기 3,500명을 포함해 8,000명에 달하게 된다. 이처럼 신규 채용을 늘리게 된 것은 실적호조로 채용여력이 더 생겼기 때문이라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상반기에 2,200명을 뽑은 포스코도 투자확대에 따라 하반기에 1,300명을 추가 채용하기로 해 올해 채용인원이 당초 2,500명에서 3,500명으로 늘어난다. LG, 현대ㆍ기아차, SK 등 다른 대기업들도 오는 9월 초에 하반기 채용계획을 확정, 공고할 예정인데 규모를 대부분 예정보다 늘리기로 했다.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은 우리 경제 최대 현안이다. 특히 전반적인 고용사정은 좋아지고 있지만 청년실업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이명박 정부 임기 후반기 시작을 맞아 경제전문가 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자리 창출이 국정의 최대 과제로 꼽혔다. 지표상으로는 경제가 좋아졌다고 하지만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는 여전히 싸늘한 것도 고용부진이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녀가 일자리를 찾지 못해 놀고 있다면 경제회복에 공감하기 어려울 것이다.

관련기사



대기업들의 채용규모 확대는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적극 호응하는 것일 뿐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기도 하다. 최근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경영을 비롯해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지만 고용증대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고용이 늘어야 소득이 증가하고 소비여력이 커져 경제가 활력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도 일자리 창출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 부문의 고용이 늘어나기 위해서는 높은 수익을 바탕으로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 등 기업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 아울러 기업들이 과감하게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규제완화와 노사관계 안정 등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도 중요하다. 대기업들의 고용확대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